본문 바로가기

뉴스

"열폭주 전 골든타임 살려야"…KAMA 전기차 화재예방 포럼

댓글0
'전기차 캐즘 극복' 정부·업계·학계 한자리… "전기차 전용 충돌시험 진행 고심"
"안심점검 서비스로 제조사 책임 다할 것"…"배터리셀간 전이 잡으려 단열재 필요"
뉴스1

(왼쪽부터) 현대자동차 전략기획실 김남석 상무, 한국기술교육대 이종욱 교수,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송지현 처장, 전기차 충전인프라 공유업체 차지인의 최영석 대표, 국립소방연구원의 나용운 연구사, 한국폴리텍대학교 류도정 교수가 12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개최한 '전기차 화재 예방 안전 정책' 포럼에 참석한 모습(KAMA 제공). 2024.11.12.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2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 안전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최근 전기차 화재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전기차 캐즘(수요 둔화)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정부, 업계, 학계가 한자리에 모여 전기차 화재 특성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공유하고 화재 예방 대책을 수립하자는 취지에서다.

이날 국립소방연구원의 나용운 연구사는 "최근에는 배터리 용량이 커져 전기차 배터리 팩이 꼭 안전하게 터지지 않는다. 외형이 붕괴하면서 터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많은 양의 연기로 소방대원 시야 확보가 어렵다"며 "질식소화 덮개를 사용해 연기 발생을 억제한 뒤 배터리에 물을 쏴 열폭주를 멈추게 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중 소방이 들어가서 불을 끄지 못한 사건은 없었다"며 제조사가 연기 발생부터 착화까지 걸리는 시간을 늘려준다면 그사이 신속히 소방이 출동해 배터리 열폭주 전 골든타임에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국립소방연구원은 화재를 옆으로 번지지 않게 연소시키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며 "안전한 연소만 가능하다면 화재 진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송지현 처장은 "빠른 전기차 보급으로 전기차 화재 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며 "전체 전기차 화재의 54%는 고전압배터리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고전압배터리 화재의 70% 이상은 충돌 후 화재였다"며 "지금 연구원에서 진행되는 자동차 충돌 시험은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최적화된 기준인 만큼 전기차에 대한 충돌시험을 어떻게 진행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현재 자동차안전연구원이 "고전압배터리 화재나 자동차부품에 대한 화재는 제작 결함을 조사해서 리콜 등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며 이 외에도 전기차 안전 인증 체계와 안전 평가 기준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 전략기획실의 김남석 상무는 전기차 제조사와 소비자 간 신뢰 관계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상무는 "국토교통부와 '배터리 안전성 인증 시범 사업'을 추진하기로 지난 10월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외부 통신이 가능한 커넥티드 카 서비스(CCS)는 신차 구입 후 5년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제조물 책임 배상과는 별개로 전기차 화재 발생 시 피해 고객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보상 보험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9월부터 시작한 전기차 안심점검 서비스에 대해선 "점검 시 문제가 발생하면 회사로선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며 "이미 타고 계시는 전기차에 대해선 사실상 (10년·20만㎞의 보증 만료) 이후에도 계속 책임을 다하겠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한국기술교육대 이종욱 교수는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은 배터리 셀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손상에 의해 붙은 불이 배터리팩으로 전이해 발생하는 것"이라며 "배터리 셀 간 전이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셀 사이에 단열재를, 배터리 팩에는 가스 배출 장치를 삽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공유업체 차지인의 최영석 대표는 차량의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며 충전하는 지능형(스마트) 충전기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seongs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메트로신문사시멘트업계, 현실과 먼 환경규제 우려 목소리 높여
  • 동아일보엔비디아는 왜 이리 강한가…‘젠슨 황 방식’ 대해부[딥다이브]
  • 뉴스핌[尹 탄핵 가결] 불확실성 해소된 '韓 증시'... 미국 금리가 '우상향' 결정할 듯
  • 매일경제“전군 경계태세 강화”…불안한 안보 상황부터 챙긴 권한대행 한덕수
  • 전자신문[ET시선] 4년만에 말 바꾼 공정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