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달러 환율 추이/그래픽=이지혜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로 강(强)달러가 지속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내년 1월 이후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한풀 꺾였던 가계부채 증가세가 반등할 수 있다는 점도 한은의 금리인하를 지연하는 요소다.
11일 한은에 따르면 오는 28일 연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가 열린다. 시장에서는 이달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지금 상황에서 통화정책 결정에 가장 큰 변수가 되는 건 성장과 환율이다. 3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이 0.1%에 그치면서 내년 경기 하방 위험은 커졌고 수출이 예상과 달리 부진한 성적을 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는 내년에는 수출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큰 만큼 수출 호조에 따른 낙수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다만 내수 경기는 한은의 예상 경로대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내수에 비해 수출은 통화정책의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한은의 셈법도 복잡해진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내년 경제성장률이 2% 초반에서 더 내려갈수도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출 필요가 있지만 부동산 상황을 고려하면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은은 트럼프 공식 취임 이후에야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1400원선을 넘나드는 높은 원/달러 환율은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 새로운 변수다. 고환율이 이어지면 수입물가를 자극해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인 물가안정 측면에서 금리를 섣불리 내릴 수 없는 상황이 된 셈이다.
비교적 안정됐다는 평가를 받는 물가와 가계대출 증가세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택가격 상승세나 가계부채 증가세를 재점화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6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9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제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옮겨갔다. 한은도 이런 흐름을 경계감을 갖고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물가도 마찬가지다.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이번달부터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한은 내부에서는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 후반대 수준을 기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내외 경제 상황을 종합할 때 한은의 다음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내년 1월 이후가 될 공산이 크다.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공식 취임을 하는 내년 1월20일 이후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환율이 오르면서 한은의 금리인하 시기는 늦춰질 것으로 본다"며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오르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한은이 내년 1월까지 (금리를) 동결해서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주현 기자 nar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