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관세"…트럼프 당선에 중국 엑소더스 가속?

댓글0
"대미 수출물량 상당한 중국 현지 다국적기업 생산기지 탈출 속도 붙을 것"

머니투데이

지난 2018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만찬을 겸해 회동했다. 두 사람의 표정이 이채롭다. /로이터=뉴스1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이 사실상 확정적인 가운데, 중국 내에서도 긴장감이 고조된다. 미국발 관세 폭탄이 날아들 것으로 예고되는 가운데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재차 중국을 떠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만을 중심에 둔 국제 정세도 요동칠 전망이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6일 새벽(현지시간) 미국 주요 언론을 통해 승패의 분수령인 270명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사실상 승리를 선언하며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훌륭한 성과를 만들어냈다"며 "새로운 정치를 통해 미국을 치유하고, 쉬지 않고 노력해 미국의 황금시대를 열 것"이라고 선언했다.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미국 대선이다. 미국과 G2를 경쟁하고 있는 중국에서도 비상한 관심이 읽힌다. 아직 공식적으로 개표작업이 끝나지 않은 터라 중국 정부도 공식 입장을 내놓진 않고 있지만 민간에서는 득실 계산에 분주한 분위기다.

중국 주재 한 한국 기업 법인장은 "고율관세를 예고한 트럼프 행정부가 당장 관세 폭탄에 다시 불을 붙일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 내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다국적 기업은 물론 해당 수출모델을 보유한 중국 기업들도 일제히 해외로 빠져나갈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현지서 생산된 제품에 특히 고율관세가 부과될 공산이 큰 만큼 이들의 엑소더스가 현실화할거라는 전망이다.

트럼프의 지난 집권 기간은 대중무역전쟁으로 요약해도 지나치지 않다. 철강과 전자기기, 가전제품을 망라하며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25%의 고율관세가 적용됐다. 보호무역주의가 만연하며 30~40% 고율관세 조치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는 요즘이지만 당시만해도 25%는 깜짝 놀랄만한 관세율이었다.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다시 한 번 세상이 놀랄만한 관세율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는 지난 2월 인터뷰에서 "집권할 경우 중국에 대해 60% 이상의 관세를 일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관세"라는 평소 본인의 지론을 특히 중국에 엄격하게 적용할 공산이 크다.

경기부진 속에서 수출 의존도가 점점 커지고 있지만, 과잉생산에 대한 전세계적 압박 속에 수출길 개척도 여의치 않은 중국이다.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긴장감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중국 정부의 정치외교적 최대 변수인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상 시계제로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한 현지 외교전문가는 "해리스가 당선됐다면 대만을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현 바이든 행정부 기조가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며 "반면 트럼프는 미국의 이익에 따라 대만을 놓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빅 딜'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중 양국이 곧바로 대만 문제를 테이블에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국과 일본 등 동북아 국가들의 안보가 곧바로 직결되는 문제인 데다, 미국으로서도 중국이 대만을 영위하게 되면 태평양 해상패권에 곧바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대만이 중국의 대양진출을 차단하는 첫 번째 방파제 격이기 때문이다.

대만 빅딜 신중론의 더 큰 이유는 대만이 미국의 반도체 우방국 네트워크인 칩4(한·미·일·대만 반도체 협력)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칩4 개념 자체는 바이든 행정부의 유산인 만큼 트럼프가 이를 이름 그대로 계승할지는 미지수지만, 반도체가 미래 경제와 산업, 군사전략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아무리 트럼프라 해도 TSMC 등 대만 반도체 생산기지를 포기하긴 어렵다.

대만 현지 시각도 신중론과 일치한다. 류징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원(장관)은 전날 대만 국회인 입법원에서 "트럼프 당선이 유리한 점이 크다"며 "대중관세 60%가 부과된다면 기술통제 측면에서 대만으로의 기업 이전이 더 가속화하고, 중국산 제품을 대만산이 대체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cheeru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신문“왜 결혼했을까”…유부녀 교사와 남학생 대화에 교실 발칵
  • 중앙일보캐나다·멕시코 이어…“달러 맞서면 관세 100%” 브릭스 위협
  • 뉴스1우크라군 "북한산 미사일 '불새' 파괴"…'北장비 러 유입 증거 추가'
  • 조선일보“세계서 가장 고립된 나라 엿보고 싶다면”... 애기봉 스벅, 외신도 주목
  • 머니투데이러시아·이란 공백 틈타…반군 대반격에 시리아 내전 격화 조짐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