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日후쿠미사원전 오염수 방출 IAEA 감시단에 중국도 참가

0
댓글0
"중국 일본산 수산물 금수조치 완화 목적"
이데일리

후쿠시마현 오쿠마에 있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에서 ALPS 처리수를 2차 방류하기에 앞서 상류 저장소에서 채취한 샘플 병. (사진=도쿄전력)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주장 : 처리수) 해양 방출 감시단에 중국이 참여했다. 중국은 그동안 국제원자력기관(IAEA) 감시단 참여가 아닌 독자적인 감시를 요구해왔다.

20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과 전화협의를 통해 새로운 감시체제를 논의할 예정이다.바닷물이나 방출 전 오염수 채취 과정에서 중국을 포함한 제3국의 역할을 확충한다는 내용으로 합의문서를 발표한다.

중국은 2023년 8월 일본이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기 시작한 이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이후 중국의 독자적인 시료 채취 등 감시 강화를 주장해왔으나, 일본은 주권 침해 등을 이유로 거절했다.

닛케이는 “새로운 감시 체제는 IAEA 틀 아래서 일본의 주권과 조사의 객관성, 타국의 공평성도 확보할 수 있다”며 “중국 주장을 상당수준 받아들인 듯하다”고 밝혔다.

이같은 일본의 조치에는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완화하려는 의도도 있는 듯하다. 닛케이는 “기시다 수상은 퇴임 전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조치가 완화를 이끌어내려는 목적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일본의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해양방출 전부터 IAEA 감시단에 참여해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시아경제백악관을 금악관으로?…황금에 집착한 트럼프, 전문가까지 데려왔다
  • 매일경제"트럼프 참전, 완전히 상상 못했다"…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긴 日
  • 조선일보한국 가수, 8년 만에 중국 본토서 공연
  • 뉴스1포르쉐 회장 120억 별장 드나들기 쉽게…뒷산 개인터널 뚫다 발칵
  • 파이낸셜뉴스"더이상 강의 못한다" 한국인 美 대학 교수, 학기 중 돌연 '비자 취소' 통보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