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일 오전 전날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한 서울 시청역 인근 교차로에서 경찰이 완전히 파괴된 차량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를 낸 운전자 차모(68)씨가 경찰 조사에서 ‘브레이크를 계속 밟았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찰은 평소 몰던 버스 페달과 사고 차량인 제네시스 G80의 페달 모양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하면서 경력 40년의 버스기사인 차씨가 버스와 승용차 페달을 혼동해 페달을 잘못 밟았을 가능성에 대해 수사 중이다.
류재혁 서울 남대문경찰서장은 10일 차씨 2차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필요시에는 압수수색이나 거짓말 탐지기 사용 등 각종 수사 방법을 동원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차씨는 “‘차량 이상을 느낀 순간부터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브레이크가 들지 않았다’고 진술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차씨는 지난 4일 첫 조사에서도 “사고 당시 브레이크를 밟았으나 딱딱했다”며 급발진을 주장했다. 차씨는 현재까지도 이같이 차량 이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류 서장은 ‘차씨 차량이 웨스틴조선호텔 지하주차장에서 빠져나온 후 가드레일에 충돌할 때까지 속도가 계속 올라갔는가’라는 질문에는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출구를 나와서 점차 속도가 올라가는 것은 확인되는데, 자세한 지점별 속도 추정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분석 결과에 포함돼서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국과수 정밀감식·감정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블랙박스 영상은 사고 당시 상황을 추정할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차씨가 경적(클랙슨)을 울리지 않았는지 질의에 “추가 조사를 해봐야겠지만 우리가 확보한 블랙박스 영상에서는 클랙슨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류 서장은 또 “버스는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모두 오르간 페달이지만 사고 차량은 가속 페달만 오르간 페달이었다”고 밝혔다.
오르간 페달은 하단부가 차체 바닥에 고정된 형태다. 다른 페달보다 피로도가 덜해 장시간 운전하는 버스나 대형 차량에 주로 탑재된다. 류 서장은 “G80의 가속 페달이 오르간 페달과 외견상 유사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청역 참사를 시작으로 고령 운전자의 ‘급발진’ 주장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노인 운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고는 전날인 9일에도 발생했다. 이날 8시 23분쯤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한 도로에서 70대 A씨가 몰던 볼보 승용차가 중앙선을 침범해 역주행하는 사고를 냈다. 이 사고로 반대 차로에서 달리던 차량 5대가 충돌하는 피해를 입었으며, 가해 차량과 피해 차량 2대에 타고 있던 4명이 부상을 입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차량이 급발진했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