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톡톡]
서울 아파트값 12주 상승…'노도강'도 2주째
서울 전세가는 56주 연속 상승 지속
전세→매매 수요 전환도 수도권서 점점 늘어
서울과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어요. 잠시 하락을 멈췄던 지방 집값은 3주 연속 내림세죠. 서울 집값은 벌써 12주째 상승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 말이죠.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무려 56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어요.
전문가들은 서울의 고공행진하는 전셋값이 매매값을 끌어올리는 데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 전세를 끼고 사는 '갭 투자'가 수월해진 탓이죠. 서울은 입주물량이 워낙 부족하니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걸로 보여요.
반년 새 서울 집값 0.16%↑…지방 0.95% ↓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둘째주(1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00%로 보합에 머물렀어요. 지난주는 0.01% 상승했죠. 수도권(0.05%)은 상승폭이 유지되는 가운데 지방(-0.02%→-0.05%)은 하락폭이 확대됐어요.
서울 아파트값 12주 상승…'노도강'도 2주째
서울 전세가는 56주 연속 상승 지속
전세→매매 수요 전환도 수도권서 점점 늘어
서울과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어요. 잠시 하락을 멈췄던 지방 집값은 3주 연속 내림세죠. 서울 집값은 벌써 12주째 상승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 말이죠.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무려 56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어요.
전문가들은 서울의 고공행진하는 전셋값이 매매값을 끌어올리는 데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 전세를 끼고 사는 '갭 투자'가 수월해진 탓이죠. 서울은 입주물량이 워낙 부족하니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걸로 보여요.
![]() |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
반년 새 서울 집값 0.16%↑…지방 0.95% ↓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둘째주(1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00%로 보합에 머물렀어요. 지난주는 0.01% 상승했죠. 수도권(0.05%)은 상승폭이 유지되는 가운데 지방(-0.02%→-0.05%)은 하락폭이 확대됐어요.
전국 178개 시군구 중에서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은 87곳으로 유지됐고요. 보합 지역은 18곳에서 6곳으로 감소했는데 하락 지역은 73곳에서 85곳으로 증가했어요.
서울은 0.09%에서 0.10%로 상승폭이 커진 반면 지방은 -0.02%에서 -0.05%로 하락폭이 커져 상반된 모습이에요. 올해 누적으로 봐도 서울은 0.16% 올랐는데 지방은 -0.95% 내렸고요.
특히 대구의 매매가격 변동률은 -0.16%로 지난주(-0.08%)보다 더 하락 보폭이 커졌네요. 서구(-0.21%)와 달서구(-0.20%)가 하락세를 주도했어요.
부산도 -0.05%에서 -0.08%로 낙폭이 커졌어요. 수영구(-0.26%), 부산진구(-0.21%) 위주로요. 세종은 -0.08%에서 -0.06%로 하락폭이 좀 줄었는데요. 매물 적체가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새롬, 아름동 중심으로 하락했답니다.
![]() |
집값톡톡 주간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 /그래픽=비즈워치 |
'노도강'도 2주째 상승세
서울은 25개 자치구 모두 지난주보다 집값이 올랐어요. 7곳은 상승폭이 좀 줄긴 했지만요. '노도강(노원·도봉·강북)'도 2주째 올랐어요.
이번주는 성동(0.26%)과 서초(0.21%), 광진(0.15%) 순으로 집값 상승폭이 컸어요.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세가격 상승세 속 매매가격 하락 우려가 점차 줄어들었다"며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어요.
인천은 0.06% 변동률이 유지됐어요. 중구(0.20%)와 남동구(0.09%), 미추홀구(0.08%) 위주로 상승했어요.
경기는 0.03%에서 0.02%로 상승폭이 좀 줄었네요. 과천(0.38%)이 가장 많이 올랐는데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중앙·별양동 위주로, 그다음 성남 분당구(0.30%)는 이매·서현동 위주로 올랐답니다.
![]() |
집값톡톡 주간 아파트 전세가 변동률 /그래픽=비즈워치 |
서울 전셋값 56주째 고공행진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4%) 대비 상승폭이 줄어든 0.03%입니다. 전국 178개 시군구 중 106개 지역이 전주보다 전셋값이 올랐죠. 보합 지역은 5곳, 하락 지역은 67곳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