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35.8 °
아시아경제 언론사 이미지

대기업 계열사 '몸값 측정불가' 판정‥M&A 가로막는 내부거래 200조

아시아경제 박소연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SKIET 매각 '태핑'‥86%에 달하는 내부거래 비중이 관건
SK배터리 미래 투자 자금 필요‥성사되면 자금조달 숨통
"내부거래가 너무 많아서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을 할 수가 없다."

최근 SK그룹 계열사 한 곳이 시장에 매물로 나왔지만, 인수합병(M&A) 업계에서 몸값 측정 불가 판정을 받았다.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 성장과 더불어 급성장하면서 코스피 상장까지 한 회사지만, 계열사 매출에만 지나치게 의존해 독립적인 시장 경쟁력을 인정받지 못한 것이다. 이는 비단 SK그룹 한 곳의 문제가 아니라 사업재편과 미래투자가 절실한 국내 대기업 집단 전체의 문제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배터리 투자 자금 조달 급한데‥과도한 '내부거래' 비중에 시장서 '가치측정 불가' 판정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이 사업 구조조정 및 자금조달을 위해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인 배터리용 분리막 생산기업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내부거래 비중이 86%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전체 매출액 6496억원 중에서 SK온, SK온 헝가리, SK배터리 아메리카 등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액이 5593억원에 이른다.

IB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SKIET의 경우 배터리 계열사인 SK온과의 내부거래 비중이 너무 커 기업가치 평가 자체가 어렵다"며 "패밀리일때는 품질이 좀 떨어져도 비밀보장이 되고 거래의 편의성 때문에 매출이나 마진이 보장되지만, 제3자가 되면 과거의 매출이나 이익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KIET의 매출 대부분이 SK 배터리 계열사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매각 이후의 경쟁력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일정기간 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약속하는 등 협상 조건을 달리할 수는 있다.


M&A에 정통한 금융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이런 M&A는 독자생존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기존 계열사 간 계약을 보장해주는 등 다른 협상 조건이 추가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대가 시급한 SK그룹은 미국 등 해외 공장 증설을 위한 추가 자금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SK온이 올해 계획한 시설투자 자금조달 규모는 약 7조5000억원에 달한다.

SKIET 매각이 성사된다면 당분간 자금 보릿고개를 넘길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막상 시장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2021년 상장한 SKIET는 이차전지 관련기업에 투자금이 몰리면서 상장 당시 역대급 청약 증거금을 모으며 기업공개 대어로 주목받았다.

SKIET의 현재 주가는 5만원대로 시초가(21만원) 대비 4분의 1토막이 난 상황이다.

상위 10대 기업집단 내부거래금액 200조원 육박‥기업경쟁력·M&A 가로막는 걸림돌
과도하게 높은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으로 인한 경쟁력 및 유연성 저하는 단지 SK그룹만의 문제는 아니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이진숙 국무회의 배제
    이진숙 국무회의 배제
  2. 2신지 문원 결혼
    신지 문원 결혼
  3. 316기 영숙 상철 명예훼손
    16기 영숙 상철 명예훼손
  4. 4헤이지니 둘째 출산
    헤이지니 둘째 출산
  5. 5오겜3 노재원
    오겜3 노재원

아시아경제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