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짝짓기로 1년 460마리 낳는다” 무시무시한 번식력…독도서 급증하는 ‘이 생물’ 정체

댓글0
헤럴드경제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독도에 '집쥐'가 급속도로 늘어 당국이 관리 방안 마련에 나섰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다음 해 5월까지 연구용역에 나서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확인하고, 퇴치·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19일 밝혔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독도 집쥐 문제는 인지하고 있었다. 다만, 독도에 접근하기가 어렵고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하는 문제 등이 있어 (관리)사업 추진이 잘 되지 않고 있었다"며 "최근 관계기관이 의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실태조사와 적정 관리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집 쥐는 독도에서 바다제비와 벼과 식물류를 먹어치운다. 곳곳에 굴을 파 생태계를 교란시켜 방제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제1호 특정도서이자 천연보호구역인 독도에 집쥐가 유입된 건은 2010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중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사체가 발견되면서 공식 확인됐다. 동도에서도 2015년부터는 집쥐가 발견되고 있다.

헤럴드경제

독도 [연합]


집쥐는 현재 독도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사실상 유일한 포유류이기도 하다.

지난해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면 인간과 독도경비대에서 기르는 삽살개, 동도 부채바위 근처에서 지난해 3월 관찰된 물개 1마리를 빼면 포유류에는 집쥐가 유일했다.

독도 내 집쥐 수는 2021년 '100~150마리'로 추산된 바 있다.

하지만 독도 집쥐의 서식 밀도와 반경은 점차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차례 현장조사 결과를 보면 1차 때 동도에선 독도경비대 태양광 발전시설·헬기장·영해기점표기석 등 7개 지점에서 집쥐 배설물을 볼 수 있었다. 태양광 발전시설과 등대 주변에서는 집쥐가 판 굴도 확인됐다.

서도에선 5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보였고, 어민 숙소 뒤편에서도 굴이 나왔다.

그런 다음 2차 조사때는 총 8개 지점에서 집쥐의 흔적을 볼 수 있었다. 굴도 2곳 확인됐다. 3차 때는 서도는 조사하지 못한 가운데 동도에서만 6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확인됐다. 2곳에서 굴이 또 관찰됐다.

헤럴드경제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독도 내 집쥐가 가장 많이 사는 것으로 추정되는 곳은 서도 주민 숙소다.

지난해 5~10월 독도에 설치돼 운영된 5대 무인센서카메라 영상 2만9410장을 분석한 결과 집쥐는 716회 발견됐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 또한 "독도 집쥐의 서식밀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되는 횟수도 늘고 있다"고 했다.

현재 집쥐가 독도 내 몇 마리가 살고 있는지는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아울러 육지(경북 울진군)에서 200여km나 떨어진 외딴 섬에 어떻게 들어왔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집쥐는 독도에 사람과 짐을 싣고 들어오는 선박과 함께 타고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쥐는 헤엄을 잘 쳐 배가 섬에 정박하지 않고 섬 가까이만 접근해도 배에서 헤엄쳐 섬까지 갈 수 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이번에 독도 내 집쥐를 '박멸'하는 게 아닌 '적절한 규모로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방안을 고안할 방침이다.

집쥐는 잡식성으로 주로 야간에 활동한다. 어두운 곳에서는 주간에도 활동할 수 있다. 수명은 야외에선 1~2년, 사육 상태에선 3년이다. 몸 길이는 22~30cm, 꼬리 길이는 17~20cm 정도다. 무게는 300~700g 가량 나간다. 서식지는 인가와 창고, 가축사, 하수구 등이다.

집쥐의 큰 특성 중 하나는 약한 시력 대신 후각과 미각, 청각, 촉각이 매우 발달해있다는 것이다. 암수 한 쌍이 1년에 새끼를 460마리까지 낳을 만큼 번식력도 강하다.

이 때문에 박멸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며, 박멸을 목표로 방제 작업을 벌였을 때 부작용도 클 수 있다.

집쥐 추가 유입을 막으려면 사람의 왕래도 끊어야 하는데, 독도의 역사·문화적 중요성을 볼 때 이러한 조치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연구진은 "방제 기간이 단기간이면 안 되며, 중간에 멈춰서도 안 될 것"이라며 "집쥐 활동 영역과 출현 빈도가 늘어난 만큼 빨리 방제 전략을 세우고 실제 방제도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yu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MBC출근길 '직장 부하' 살해한 50대‥"업무상 불만많아"
  • 이데일리"文 경호구역서 태연히 범행, 여직원 상태 '참혹'"...진상규명 촉구
  • SBS순찰차 앞 머뭇 "왜 이래?"…'공포의 질주' 차량 잡고보니
  • YTN경찰 매달고 아찔한 도주극 ..."차 빼주세요"에 덜미 [앵커리포트]
  • 뉴스1만월산에 퍼진 여성의 외마디 비명…미소 띤 채 사라진 남성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