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홍콩ELS·환율 직격탄…금융지주 순익 전망 '암울'

0
댓글0
ELS 배상·환율 리스크 등 일회성 요인 실적 직격탄
신한, KB제 제치고 ‘리딩금융’ 타이틀 차지할 전망
ELS 충당금 제외시 성장세는 양호하다는 시각도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지난해 역대 최대 1분기 실적을 거둔 4대 금융그룹이 올해 1분기에는 부진한 성적표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에 따른 자율 배상 등으로 전년보다 순이익이 1조원 가량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다. 이 가운데 신한금융지주는 KB금융지주를 제치고 ‘리딩금융’ 타이틀을 차지할 것으로 보여 지주사 실적 순위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이데일리

(그래픽=문승용 기자)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지분) 합산은 3조 9815억원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조 9015억원) 대비 18.8% 줄어든 수치다. 4대 금융지주는 이달 25일 KB금융을 시작으로 26일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이 올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금융지주별로 살펴보면 K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 200억원으로 지난해(1조 4976억원) 대비 31.9%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신한금융은 1조 2377억원의 순이익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전년 동기(1조 3880억원)와 비교해 10.8% 줄어든 수준이지만 KB금융을 약 2000억원 차이로 앞서며 리딩금융 타이틀을 탈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나금융은 9062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조 1022억원)보다 17.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9137억원)보다 10.5% 감소한 817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금융지주사의 실적 부진 원인은 핵심 자회사인 은행 ELS 손실 배상 여파가 크다. KB금융은 홍콩 ELS 판매 잔액이 7조 6695억원으로 금융사 가운데 가장 많아 순이익 감소폭이 가장 클 전망이다. 조아해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은행권 중 올해 위험요소가 가장 큰 곳은 KB국민은행이다”며 “KB국민은행의 ELS 배상액은 올해 5000억원 후반서 1조원 초반까지 추정되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대신증권은 1분기 홍콩 ELS 배상으로 KB금융 8630억원, 신한지주 2670억원, 하나금융 2360억원, 우리금융 46억원 규모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환차손도 부담 요소다. 환율이 오를수록 은행의 건전성은 떨어질 수 있다. 외화대출 등 외화자산을 원화로 환산하면 금액이 늘어나는 만큼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하락할 수 있어서다. 특히 외환 업무의 강자인 하나금융은 비화폐성 환차손에 약 700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증권가는 추정했다.

다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홍콩 ELS 자율배상 등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주요 금융그룹의 영업이익 성장세는 양호하겠다는 시각도 있다. 대출 성장세와 순이자마진(NIM) 개선으로 순이자이익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가계대출은 일부 은행을 중심으로 예상보다 높은 성장을 예상하는데 이는 대환대출 인프라의 주담대, 전세 확장과 이에 따른 수요 증가 영향때문이다”고 평가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홍콩 ELS 자율배상과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화환산손실 외에는 일회성 요인이 거의 없다”며 “은행의 1분기 실적은 일회성 비용 반영 등으로 이미 낮아진 컨센서스를 다소 웃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사진=연합뉴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연합뉴스현대제철, 미 제철소 건설 검토…'트럼프 무역장벽' 대응 고심(종합)
  • 연합뉴스TV막 오른 CES 2025…신기술 향연에 구름 인파
  • 매경이코노미당정, 1월 27일 임시 공휴일 지정...연휴 6일 쉰다
  • 헤럴드경제외인, 삼성전자 비중 23개월만 최저…‘저가매력’에 돌아올까
  • 서울경제현대차, 美 생산 확대·현대제철, 제철소 건설 추진···'트럼프 시프트' 시작됐다[biz-플러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