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
국내 농가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지고 농민 중 고령층 비중도 역대 최고치를 넘어섰다. 지난해 등록장애인 2명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으로 조사됐다.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가 전방위로 파급되는 모습이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작년 12월 1일 기준 한국 농가는 99만9000가구로 나타나 전년보다 2.3% 감소했다. 농업조사가 시작된 1949년 이후 처음 100만 가구를 밑돈 것이다.
농가 인구는 208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3.5% 줄었다. 연령별로 70세 이상이 76만7000명으로 전체 의 36.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지난해 어가는 4만2000가구, 어가 인구는 8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임가는 9만9000가구, 임가 인구는 20만4000명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는 복지망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등록장애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장애인중 65세 이상 노인의 비중은 53.9%에 달했다. 이 비중은 2014년 41.1%로 절반 이하였지만 꾸준히 상승해 2020년 49.9%에 이어 3년 연속 50%를 넘은 것이다. 전체 등록장애인중 비중이 가장 큰 세대도 60대(23.8%), 70대(21.6%), 80대(17.2%) 순이었다.
고령화와 연관된 장애 유형도 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가장 많이 등록된 장애는 지체장애(43.7%), 청각장애(16.4%), 시각장애(9.4%), 뇌병변장애(9.1%), 지적장애(8.7%) 등 순이다. 이중 노년층에게 자주 발견되는 청각장애는 2011년 10.4%에서 16.4%로 뛰었다. 청각장애 인구도 같은 기간 26만1067명에서 43만2854명으로 17만명 넘게 늘었다.
지난해말 기준 전체 등록장애인은 264만1896명으로 전체 인구의 5.1%였다. 새롭게 등록한 장애인은 8만6287명이고, 사망 등으로 제외된 인원은 9만2815명이었다. 남성 장애인은 152만9806명, 여성은 111만2090명이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농어촌 지역의 경우 생산인구가 빠져나가고 고령인구만 남으면서 지역소멸로 가는 곳이 많다”며 “이런 지역의 노인분들의 의료 서비스 등 수급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에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거점센터 등의 모델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