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8.0 °
SBS 언론사 이미지

'수련하는' 전공의에 의존한 대형병원…드러난 구조적 문제

SBS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앵커>

전공의들은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 계속 배우고 있는 의사들입니다. 가장 초보 의사라고도 할 수 있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자, 현장에 이렇게 큰 혼란이 생겼다는 건 우리 의료 시스템에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 부분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대장염증 절제 수술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의 한 대학병원 수술실의 모습입니다.

원래는 집도를 하는 담당 교수를 포함해 의료인 네 명이 진행하던 수술인데, 전공의가 병원을 떠나면서 지금은 세 명뿐입니다.


전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 병원은 수술 지연이 적은 편이지만, 빅5 대형 병원은 사정이 다릅니다.

전공의가 떠난 이후 수술이 평소에 비해 하루 3~40% 정도 연기되는 실정입니다.

그만큼 대학병원에서 전공의 역할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박단/대한전공의협회 비대위원장 : 교수들이나 전문의를 더 많이 뽑아서 그 사람들이 중심으로 돌아가야 지금 전공의들이 병원을 나오든 안 나오든 병원이 잘 돌아가야 하는 건데....]

보건 선진국은 우리랑 사정이 다릅니다.

미국 메이오 클리닉의 전공의 비율은 10.9%, 일본 도쿄대 병원은 10%, 미국 하버드 대학병원 15% 수준입니다.


국내 빅5 대형 병원의 평균 전공의 비율인 39%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인데, 그 자리를 전문의들이 채우고 있습니다.

전문의만도 1만여 명에 달하는 하버드대 병원은 전문의가 가장 많은 서울아산병원보다 10배 많습니다.

그러나 대형 병원들은 현실적인 이유로 전문의를 많이 고용할 수 없다고 항변합니다.

필수의료수가가 낮기 때문인데, 빅5 병원 신경외과 개두술 교수는 자신의 수술로만 따져보면 병원에 1년간 4% 적자를 끼쳤다고 공개했습니다.

권역별 중증외상센터도 경증 환자까지 봐야 적자를 면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형 병원들은 의료수가 인상을 그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건데 정부는 이보다 앞서 의사 숫자부터 늘리는 게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박지인, 디자인 : 이민재)

▶ '간호사 보호책' 첫날…업무 몰리는 간호사들, 거절당하는 환자들
▶ 윤 대통령 "의대 증원 마지막 기회"…의사협회 5명 첫 고발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dongchar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의대생 전원 복귀
    의대생 전원 복귀
  2. 2박서진 무명시절
    박서진 무명시절
  3. 3문가영 의료 소송
    문가영 의료 소송
  4. 4김정은 푸틴 회담
    김정은 푸틴 회담
  5. 5대구 울산 경기
    대구 울산 경기

함께 보면 좋은 영상

by

SBS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독자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