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미국이 첨단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중국산 항만 크레인을 교체하기로 했다. 수십억달러를 투입해 미국 업체들이 항만에서 쓰는 크레인을 제작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에서 수입한 항만 크레인이 미 안보에 잠재적 위협이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 |
미국이 안보위협을 이유로 첨단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중국산 크레인을 미국산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교체되는 크레인은 일본 미쓰이의 미 자회사가 미국에서 생산하게 된다. 로이터연합 |
미국이 첨단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중국산 항만 크레인을 교체하기로 했다. 수십억달러를 투입해 미국 업체들이 항만에서 쓰는 크레인을 제작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에서 수입한 항만 크레인이 미 안보에 잠재적 위협이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 항만에서 쓰는 크레인 80%가 중국 제품이다.
5년 동안 200억달러 투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이하 현지시간) 행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미국이 항만 보안에 5년에 걸쳐 200억달러(약 26조7000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항만보안 사업에는 중국산 크레인을 미국산으로 교체하는 사업도 포함된다.
크레인 제작을 맡게 될 곳은 일본 미쓰이의 미 자회사다. 미쓰이 미 법인이 중국에서 제작된 크레인을 교체하는 미국산 크레인을 만들게 된다. 30년 만에 첫 미국산 크레인이 될 전망이다.
크레인 교체는 해상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조처다.
그 일환으로 해안경비대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미 항만들에 설치된 외국산 크레인들에 대한 디지털 보안을 강제할 수 있도록 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명령으로 미 항만 컴퓨터 네트워크 사이버보안 기준도 정했다.
미 경제·군 재화 이동 정보 넘어갈 수도
앤 노이버거 사이버·신흥기술 담당 국가안보 부보좌관은 "실질적인 전략적 위험이 존재한다는 점을 감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이버거 부보좌관은 항만에서 대규모 컨테이너들을 운반하는 이들 크레인이 해킹에 노출되거나, 잠재적 적성 국가로부터 임대 또는 이들이 운영하게 될 경우 항만을 통한 미 경제, 군의 재화 이동에 실질적인 충격이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