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6.2 °
연합뉴스 언론사 이미지

북한 경제 3년째 역성장…남북한 소득 격차 30배로 확대

연합뉴스 박원희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무역액 격차 892배…북한 인구, 남한의 절반 수준
북한 식량 생산량 4%↓…남북 영양 공급 격차 1.6배
노동당 창건 78주년 맞은 북한 주민들(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노동당 창건 78주년을 뜻깊게 맞이했다고 보도했다. 2023.10.11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노동당 창건 78주년 맞은 북한 주민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노동당 창건 78주년을 뜻깊게 맞이했다고 보도했다. 2023.10.11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년 전보다 0.2% 감소하며 3년째 역성장을 기록했다.

남북한의 1인당 소득 격차는 30배로 확대됐으며 대외 무역액 격차는 892배에 달했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3 북한의 주요통계지표'를 20일 발표했다.

지난해 북한의 실질 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4.5%), 2021년(-0.1%)에 이어 3년째 역성장이다.

제조업(-4.6%) 등 광공업 생산이 1.3% 줄고 농림어업의 생산도 2.1% 감소하면서 역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북한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36조2천억원이었다. 남한(2천161조8천억원)의 60분의 1(1.7%) 수준이다.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36조7천억원이었다.

1인당 GNI는 143만원으로 1년 전보다 0.5% 늘었다. 남한(4천249만원)과의 격차는 29.7배로 2021년(28.6배)보다 격차가 커졌다.

[그래픽] 남북한 국내총생산(GDP)·국민총소득(GNI) 추이(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그래픽] 남북한 국내총생산(GDP)·국민총소득(GNI)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지난해 북한 인구는 2천570만명으로 1년 전보다 9만명 늘었다. 남한 인구(5천167만명)의 절반 수준이었다.


기대수명은 남자가 71.9세, 여자가 78.3세로 남한에 비해 남자는 8.0세, 여자는 7.3세 짧았다. 남북한의 기대수명 차이는 점점 좁혀지고 있다.

북한의 인구 1만명당 대학생 수는 185.0명으로 남한(537.4명)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북한 주민 한명이 하루에 섭취하는 에너지는 1천982㎉로 1년 전보다 2.4% 감소했다. 북한의 영양 공급량은 2004년 2천206㎉를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남한(3천156㎉)과의 격차는 1.6 배였다.


단백질 공급량이 55.1g, 지방질 공급량이 31.2g으로 남한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남한의 단백질 공급량은 113.3g, 지방질은 123.6g이었다.

북한 들녘에 찾아온 가을(인천=연합뉴스) 임순석 기자 = 6일 오전 인천시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마을에서 북한 주민들이 추수 작업을 하고 있다. 2023.10.6 soonseok02@yna.co.kr

북한 들녘에 찾아온 가을
(인천=연합뉴스) 임순석 기자 = 6일 오전 인천시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마을에서 북한 주민들이 추수 작업을 하고 있다. 2023.10.6 soonseok02@yna.co.kr


북한의 식량 작물 생산량은 451만t으로 1년 전보다 4.0% 감소했다.

이중 쌀이 207만t으로 3.8% 줄었다. 남한(376만t)의 55.1% 수준이었다.

지난해 북한의 무역총액은 15억9천만달러로 122.4% 늘었다. 남한(1조4천억달러)과의 격차는 892.2배로 좁혀졌다.

북한의 수출이 1억6천만달러, 수입이 14억3천만달러로 각각 93.9%, 126.1% 늘었다.

최대 교역국은 중국으로 비중이 96.7%에 달했다.

최대 수출 품목은 '광·슬랙 및 회'로 28.0%를 차지했고 최대 수입 품목은 '광물성연료·광물유'로 36.4%를 차지했다.

북한의 발전설비 용량은 8천270㎿로 남한의 17분의 1, 발전전력량은 264억㎾h로 남한의 23분의 1에 불과했다.

2023년 8월 북한 신의주에서 중국 단둥으로 가는 버스들[촬영 정성조]

2023년 8월 북한 신의주에서 중국 단둥으로 가는 버스들
[촬영 정성조]


통계청은 최근 북한의 사회·경제상 등을 반영해 새로운 북한 장래인구추계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13년 만의 업데이트로, 시계열을 2070년까지 연장해 제공한다.

질병 현황, 등록장애인 수, 자연재해 등 30여종의 북한 관련 지표도 발굴하고 흡연율, 교통사고 사망자 수 등까지 서비스를 확대해 제공하기로 했다.

encounter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최정 노경은 대기록
    최정 노경은 대기록
  2. 2찰리 커크 추모 논란
    찰리 커크 추모 논란
  3. 3조국 강미정 복당 권유
    조국 강미정 복당 권유
  4. 4포스테코글루 유로파리그 우승
    포스테코글루 유로파리그 우승
  5. 5세계양궁선수권대회 운영
    세계양궁선수권대회 운영

연합뉴스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