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서초구 빗썸고객지원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시세가 나타나 있다. 뉴시스 |
◆‘6000만원’ 넘은 비트코인…금리인하·ETF 승인 기대감
6일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오전 9시25분 기준 전일 같은 시간 대비 7.03% 오른 6051만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이 6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2021년 12월 이후 2년 만이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 시황 중계 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도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4만4000달러 선을 넘어섰다.
비트코인의 급등세로 관련주들도 한국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인다. 이날 우리기술투자는 전 거래일 대비 5.99% 오른 7430원에 마감했다. 우리기술투자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분 약 7.4%를 보유하고 있다. 역시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한화투자증권 우선주는 29.93% 오른 1만2590원에 마감했다.
비트코인 급등 요인으로는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꼽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현재 5.5%인 기준금리 상단이 내년 12월까지 4.25%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보는 견해가 74.7%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시장의 자금은 채권이나 예금과 같은 안전자산에서 주식시장이나 금, 비트코인과 같은 위험자산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띤다. 지난 4일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이 사상 최고치(8만7300원)를 찍는 등 최근 금값이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것도 이런 기대감 때문이다.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미국 당국의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예상도 호재로 작용했다. 블랙록을 비롯한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미 증권거래소(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신청한 상태로, 내년 상반기 중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승인이 이뤄질 경우 현물 ETF에 기관 자금이 투입되면서 유동성이 증가해 전체 시장 규모가 커진다.
내년 4월로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로 인해 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도 가격을 밀어 올리고 있다. 비트코인은 전체 발행량이 제한돼 있어 일정량이 유통되면 채굴량이 절반으로 줄어들도록 설계돼 있다. 반감기는 약 4년을 주기로 오는데, 역대 반감기 때마다 비트코인 가격은 상승해왔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1차 반감기(2012년 11월)가 시작된 시점부터 다음 반감기(2016년 7월)가 오기 전까지 약 92배 상승했으며, 이후 2차 반감기 당시는 30배, 3차 반감기 당시는 8배 올랐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상승 추세에는 한국발 자금 유입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가상자산 데이터 제공 업체 씨씨데이터(CCData)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비트코인을 거래한 법정 화폐에서 원화가 처음으로 달러를 추월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11월 한 달간 거래된 비트코인의 법정 화폐 가운데 원화 비중은 42.8%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9월부터 현재까지 원화의 시장 점유율은 약 41%로 약 17%포인트 상승했고, 달러의 점유율은 약 40%로 11%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비트코인의 현 상승 추이가 계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여러 차례 제기된 호재이며, 실현 가능성이 현재로선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존스 트레이딩의 마이클 오루크 수석 시장 전략가는 블룸버그에 “ETF 기대와 금리 인하에 대한 희망이 결합해 또 다른 투기적 광란을 불렀다”고 지적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비공개로 열리는 금융위·금감원·보험사 CEO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준비하고 있다. 뉴시스 |
◆금융당국 “보험사, 신뢰받는 동행자로 계약자 관심·배려 기울여달라“
김 위원장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보험회사 CEO 간담회’에서 “보험의 근간은 보험계약자 간 상부상조 정신과 보험계약자와 보험사 간 장기적인 신뢰에 있다”며 “최근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보험계약자가 어려운 처지에 놓인 만큼 보험회사가 신뢰받는 동행자로서 계약자들의 어려움을 덜 수 있도록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과 이 원장이 금융권 CEO들을 만난 것은 금융지주·은행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금융당국 수장들은 보험업권을 향해서도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사적 사회안전망으로서 국민을 보호해온 보험업계가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건강히 성장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서민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시기에 보험사들이 스스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면 보험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더욱 두터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사 및 생·손보협회는 보험업권의 상생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표하고, 보험업권 자체적인 협의를 통해 세부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이자 부담 경감을 추진하기로 한 은행권에서는 상생금융 분담 규모 등을 놓고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일각에서는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규모가 상생금융 분담 규모를 정하는 주요 기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상생금융의 초점이 취약차주의 고금리 부담 완화에 맞춰진 만큼, 평소 이들에게 더 많이 대출한 은행이 그에 비례해 사회적 책임도 져야 한다는 논리다. 이 밖에도 당기순이익 등이 상생금융 분담 규모를 정할 기준으로 거론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상생금융이) 이자 캐시백 등의 방식으로 간다면 당연히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출 규모가 반영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당기순이익 관련 이슈로 (상생금융이) 시작됐으니 이 부분도 고려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