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선대부두.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공급망 리스크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신규 해외 거래처를 찾거나 국내 조달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제조기업 302곳 중 60.3%는 ‘현재 수입 중인 원자재·부품을 대체하는 방안을 마련했거나 검토중’이라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미 대책을 마련했다’는 응답은 18.0%, ‘대책을 검토중’이라는 답변은 42.3%로 조사됐다.
수입 공급망 대책을 마련했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2년 전만 해도 45.5%에 그쳤다. 공급망 대책이 없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54.5%에서 39.7%로 줄었다.
대한상의는 전쟁과 보호무역주의 등 공급망 리스크가 장기화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안정적인 원자재·부품 조달 체계를 갖추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은 해외 거래처 다변화를 통해 공급망 대책을 세운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 중 34.7%는 ‘신규 해외 거래처 추가·공급망 확대’로 대처하고 있다고 답했다.
‘수입 원자재·부품 국내 조달’은 25.7%로 나타났다. 8.7%는 ‘기존 해외 거래처를 안정적 국가·기업으로 변경’한다고 했고 4.0%는 ‘수입 원자재·부품을 자체 생산’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해외에서 원자재·부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경험한 기업은 2년 전보다 28.3%포인트 감소한 38.7%로 집계됐다.
전 세계 공급망에 광범위한 타격을 입힌 코로나19 영향이 감소했고 이후 발생한 요인의 경우 국지적 영향에 그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구체적 피해 내용을 묻는 항목에는 87.9%(복수응답)가 ‘단가 상승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꼽았다. ‘물류 차질’은 27.6%, ‘조달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은 24.1%로 나타났다.
수입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조달처 다변화에 따른 물류·통관 지원’을 꼽는 응답이 33.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신규 조달처 확보를 위한 정보 제공’을 제시한 응답이 20.0%로 뒤를 이었고 ‘수입품목 국산화 지원’ 24.3%, ‘안정적 교역을 위한 외교협력 강화’ 14.3% 순으로 조사됐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공급망 다변화와 자립화를 위해 신규 공급선 물류지원, 수입품목 국산화 투자, 리쇼어링 인센티브 강화 등 전폭적 정책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이번 조사는 2년간 변화를 조사한 단기비교로 장기추세 파악에는 한계가 있어 향후 공급망 피해 현황과 대응 실태를 지속적으로 조사해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