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 릴레이 행보, 대한상의 찾은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임한별(머니S) |
산업통상자원부 실장급(1급 고위공무원) 직위 10명 중 6명이 교체됐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 취임 후 일주일만이다. 지난 7월 환경부 등 일부 부처를 중심으로 시작된 실·국장급 고위공무원단 쇄신 인사가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전체 10개 실장급 직위의 60%인 6개 직위를 교체하는 등 대대적인 인사를 단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실장급으로 격상된 대변인엔 과거 산업부 대변인 재직 경험이 있는 최남호 현 기획조정실장이 임명됐다. 무역위원회 상임위원엔 무역·통상 경험이 풍부한 천영길 현 에너지정책실장이 임명됐다.
기획조정실장엔 이원주 현 에너지정책관(행시 40회), 산업정책실장엔 이승렬 현 원전산업정책국장(행시 40회), 에너지정책실장엔 이호현 전력혁신정책관(행시 39회), 통상차관보엔 양병내 국민의힘 수석전문위원(행시 39회)이 승진 임용됐다.
기존 행시 37회와 38회 위주의 실장급 직위에 행시 39회와 40회를 등용해 조직 분위기 쇄신을 유도하고 조직 내 긴장감과 활력을 높였단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통상·에너지 분야의 핵심 실장급 직위에 국장급을 승진 임용했다"며 "신임 장관 부임과 동시에 새로운 진용으로 산업부의 주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고 밝혔다.
기획조정실장과 산업정책실장은 현장감과 속도감 있는 국정과제 이행으로 수출 확대, 첨단산업 초격차 유지 및 규제 혁신 등에 집중한다. 에너지정책실장은 현실성 있는 에너지 믹스를 재정립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을 조기에 완성할 방침이다.
방 장관은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하도록 '능력·성과·전문성' 중심의 인사를 단행했다"며 "이를 계기로 산업부가 새로운 각오로 합심해 전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6월 말 차관 인사를 내면서 실·국장급 고위공무원 물갈이를 예고했다. 지난 7월 4대강 이념적 정책에 매몰됐다는 질타를 받은 환경부를 시작으로 각 부처에서 1급 교체가 이어졌다.
인사 기준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에 따라 얼마나 국정과제를 충실하게 이행했느냐다. 부처별로 실·국장 등 고위공무원단을 중심으로 업무 실적을 평가해 복지부동(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않는 것)하는 등 새 정부의 국정운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않는 공직자들을 교체했다.
산업부 역시 원전 생태계 복원이 지지부진했다는 질타를 받았는데 이번 인사도 이 같은 맥락에서 풀이된다. 현 정부 정책 추진에 보다 적극적인 인력들로 조직을 채우겠다는 의도다. 1급인 실장 인사에 이어 국·과장 등 조직개편도 뒤따를 예정이다.
세종=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