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주하게 하역 중인 부산항 |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민경락 박재현 기자 = 한국의 7월 수출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OECD 회원국 가운데 감소폭이 가장 컸다.
수출과 수입액을 합친 전체 교역량이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위축되면서 중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수출 감소 (PG) |
24일 OECD가 취합해 공개한 자체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한국의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5.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수출 감소 폭은 아직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콜롬비아를 제외한 OECD 37개 회원국 중 노르웨이(-50.2%), 에스토니아(-19.4%), 리투아니아(-16.4%)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지난해 12월(-10.1%)과 1월(-15.8%) 한국의 수출 감소 폭은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컸다.
그 뒤로도 6월(-7.1%·17위)을 제외하면 반년 이상 수출 감소 폭 4위권 이내를 벗어나지 못하는 불명예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표] 올해 OECD 회원국 수출 증감률 추이 |
이런 상황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와 관련이 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대중국 수출은 14개월째 줄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이자 최대 수출국이다.
올해 1∼7월 우리나라의 전체 교역액과 총수출액에서 중국의 비중은 각각 20.9%와 19.6%였다. 같은 기간 주력 수출품인 메모리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액 비중은 약 45%에 달했다.
전 세계 경기에 악재로 작용하는 중국의 더딘 경기 회복이 유독 한국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국제 유가 오름세에 수입물가도 1년 5개월만에 최대폭 상승 |
◇ 수출보다 더 쪼그라든 수입…에너지 외 품목 수입도 줄어
수입액은 수출보다 감소 속도가 더 빠르다.
한국의 7월 수입은 1년 전보다 25.4% 줄어 OECD 37개국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회원국 중 20% 이상 수입이 줄어든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2위인 핀란드(-17.9%), 3위인 일본(-17.4%)과의 격차도 7%포인트(p) 이상 벌어졌다.
올해 4월과 5월 수입 감소 폭은 OECD 회원국 중 각각 7위, 6위를 기록한 뒤 6월 11위까지 떨어졌지만, 7월 1위로 수직 상승했다.
수입액 감소는 7월까지 계속된 에너지·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이 가장 컸다.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의 7월 수입액은 1년 전보다 47% 감소했다. 3대 에너지 수입액은 우리나라 전체 수입의 20%에 달한다.
수출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나 중간재 수입도 감소세다.
7월 반도체, 철강 제품, 반도체 장비 등 에너지를 제외한 품목의 수입은 16.8% 줄었다.
국내 경기 및 수출 부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반도체 중심의 수출 부진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수입액은 늘 수 있지만 수출을 위한 중간재 등 수입이 줄어드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서 추가 금리 인상 시사하는 파월 |
◇ "고유가 지속시 수출 의존 한국경제 더 큰 충격"
수출·수입이 동시에 줄면서 전체 교역량이 큰 폭으로 쪼그라드는 것은 인구 감소, 물가 상승 누적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가계 부채 등 구조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고금리에 따른 긴축 기조, 유가 상승 등이 계속되면 중장기적으로는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유가가 올라가면 전체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교역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한국처럼 수출에 많이 의존하고 통화 정책 수단이 제한적인 나라는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표] 올해 OECD 회원국 수입 증감률 추이 |
roc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