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들에게 안내견은 단순한 눈이 아니라 정서적 안정을 주는 동반자입니다."
19일 경기 용인시 삼성화재 안내견학교. 갈색 털을 가진 강아지가 등에 '삼성 안내견'이라고 쓰인 옷을 입고 얌전히 앉아 지시를 기다렸다. 훈련사가 눈을 감은 채 천천히 발걸음을 떼자 침착하게 앞길을 안내했다. 눈 앞에 철제 장애물이 있거나, 계단·다리가 있어도 끄떡없이 훈련사를 인도했다. 목적지에 도달하자 이제서야 안심이라는 듯 꼬리를 흔들며 밝게 웃었다.
삼성의 안내견 사업이 올해로 30년째에 접어들었다. 삼성은 반려견에 남다른 애정을 가졌던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의 유지대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안내견학교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 있을 정도로 그룹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사업 중 하나다. 이날 본 안내견학교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선진적인 수준에 올라 있다는 느낌을 줬다.
━
30주년 안내견학교 기념식 '깜짝 방문'한 이재용…강아지 바라보며 흐뭇
━
19일 경기도 용인시 삼성화재 안내견학교 기념식에서 안내견을 바라보며 흐뭇해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가장 윗줄 오른쪽 2번째)과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가장 윗줄 오른쪽 1번째). / 사진 = 오진영 기자 |
이날 삼성안내견학교는 30주년을 맞이해 사회의 변화를 돌아보는 기념식을 열었다. 기념식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시각장애인 파트너인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삼성안내견학교는 시각장애인들의 눈이 되는 안내견을 이제까지 280마리 분양했으며, 봉사 가정도 누적 2000가구다.
이재용 회장은 모친인 홍라희 전 관장과 직접 30주년 기념식을 찾았다. 각별한 반려견 사랑을 뽐낸 부친 고 이건희 선대회장의 뜻대로 삼성이 안내견 사업을 이어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새끼 강아지를 돌보는 퍼피워커들에게 박수를 치거나, 홍 전 관장과 강아지를 바라보며 미소를 짓는 등 기념식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강아지를 쓰다듬으려 손을 뻗거나 손가락을 내밀며 장난을 치기도 했다.
이 회장은 김예지 의원과 참석자들에게 행사 후 "와 주셔서 감사하다"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김 의원의 안내견인 '조이'는 어디 있냐고 묻기도 했다. 홍 전 관장도 "(안내견 사업은)이건희 회장님이 굉장히 노력하던 사업이라, 30주년 기념식을 보셨으면 감동하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안내견학교를 설립한 것은 1993년이다. 생후 훈련기간 약 2년과 활동기간 7~8년, 은퇴 뒤 노후 돌봄 등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안내견을 철저히 돌보고 교육시키는 선진적 프로그램이 구축돼 있어 일본·대만에서도 교육 프로그램을 배우기 위해 찾아올 정도가 됐다. 불모지였던 한국에서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의 인식을 크게 개선했다는 평가다.
안내견들은 새끼 때 이 곳에 입학한 뒤, 퍼피워킹·훈련을 거쳐 안내견이 된다. 사람을 돌보는 것을 좋아하는 강아지들이 안내견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을 지나가마자 꼬리를 흔들며 애교를 부렸다. 그러다가도 안내견 옷을 착용하기만 하면 눈빛이 돌변했다.
훈련을 담당하는 유석종 안내견 파트너는 "옷을 벗으면 장난기 많은 강아지지만, 안내견일 때에는 시각장애인을 최우선으로 돕는다"라고 말했다.
삼성 안내견학교는 앞으로도 규모를 키우고 훈련 프로그램을 개선해 안내견 인식 제고에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 회장의 '깜짝 방문'도 힘을 더한다. 이미 안내견이 머무는 견사를 기존 2배 크기로 확장했으며, 시각장애인 파트너를 위한 교육 횟수도 늘렸다. 안내견학교 관계자는 "모든 시각장애인 파트너가 준훈련사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훌륭한 안내견 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진영 기자 jahiyoun2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