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5일 ‘대중국 수출부진과 수출시장 다변화 추이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서 ‘중국 외 시장’으로의 수출 증가율은 2021년부터 대중국 수출 증가율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기업의 수출선 다변화가 진행 중이라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수출입화물을 가득 실은 컨테이너선이 부산항을 출항하고 있다. 연합뉴스 |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율을 중국과 ‘중국 외’로 구분했을 때 2021년 중국은 22.9% 늘었고, 중국 외 수출은 이보다 높은 26.7% 증가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대중국 수출이 4.4% 감소했고, 중국 외 국가 수출은 9.6% 늘었다. 올해 1분기에는 중국과 중국 외 국가 수출이 29.8%, 6.8% 각각 감소했다.
보고서는 시장 비교 우위 지수(MCA)를 활용해 중국 외 주요 시장으로의 수출 증가가 해당 시장 내 품목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MCA는 특정 품목에 대한 수출 시장에서의 비교우위를 알려주는 지표로 MCA가 클수록 전체 수출 품목 대비 비교우위가 있고, 해당 시장·품목 내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해석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수출 품목의 MCA가 2017년 대비 상승한 품목 수(미국·베트남·중국은 2022년, 인도·호주는 2021년 비교)는 미국(6개), 인도(7개), 호주(6개), 베트남(6개), 중국(4개)으로 나타났다. 미국·인도·호주·베트남에서 확대된 우리 수출 품목 경쟁력이 중국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율 비교(중국 vs 중국 외). 한국무역협회 제공 |
중국 수출 비중이 빠르게 축소된 석유제품,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플라스틱 제품 등에서 중국 외 수출 시장이 확대됐다. 석유제품의 중국 수출의존도는 2021년 17.9%에서 올해 1분기 7.6%까지 하락했으며 디스플레이는 같은 기간 36.0%에서 26.1%까지 낮아졌다.
대중국 수출이 감소세인 대부분의 품목에서 한국의 대미 수출이 늘었다. 올해 1분기 미국 수입 시장 내 한국 상품 점유율은 1990년(3.73%) 이후 최고치(3.59%)를 기록했다.
조의윤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 수출 부진에도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해 수출 시장 다변화가 이미 진행 중”이라며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으나 자국 수출 자립도가 상승하고 있는 국가로 우리 기업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장기적 관점에서 유리하다”고 했다.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