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현대차, SK온 이어 LG엔솔과도 미국에 배터리 합작공장···IRA 대응 순항

댓글0
경향신문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조감도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LG에너지솔루션과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을 건설한다. 2025년부터 전기차 약 30만대에 들어가는 배터리셀을 생산하는 게 목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SK온과도 미국 합작공장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K배터리 업체들과의 잇단 공조를 통해 전기차 조립과 부품 수급을 미국 영토 안에서 해결하도록 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보다 순조롭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26일 서울 여의도 LG에너지솔루션 본사에서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

두 회사는 올해 하반기 중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셀 합작공장 건설에 착수하기로 했다. 최소 5조7000억원(43억달러)을 공동 투자하며 지분은 각 50%씩 보유한다. 공장은 2025년 말 가동이 목표로 연간 30기가와트시(GWh)에 달하는 배터리셀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약 30여만대에 들어갈 수 있는 규모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물량은 현대모비스가 배터리팩으로 제작해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전량 공급될 예정이다. HMGMA는 현대차가 짓고 있는 북미 첫번째 전기차 전용공장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 합작공장이 들어서는 조지아주 서배너 브라이언 카운티에 위치해 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SK온과도 연간 35GWh규모의 배터리 합작 공장을 조지아주에 짓기로 했다. 총투자액은 6조5000억원(50억달러)에 달한다.

이로써 현대차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SK온과 손잡고 미국에 연간 전기차 약 60만대에 공급 가능한 배터리 생산 거점을 마련해 IRA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IRA의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북미에서 최종 조립을 마쳐야 할 뿐만 아니라, 북미에서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도 50% 이상 사용해야 한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에서 현재 조립되고 있는 제네시스 GV70 전기 모델의 경우 SK온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지만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다는 이유로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대차그룹과 배터리사들의 합작공장 설립은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적극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친환경 제조업 유치 정책의 일환이기도 하다. 국내 배터리업체들은 현대차 외에도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혼다, 스텔란티스 등과도 북미 곳곳에 생산 거점을 마련 중이다. IRA의 인센티브 조항이 투자 행렬을 촉진하는 측면도 있다. IRA의 생산세액공제(AMPC) 조항은 미국 내에서 배터리 셀을 생산할 때 1킬로와트시(KWh) 당 35달러, 배터리 모듈까지 만들면 추가 1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검증된 글로벌 양산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통해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에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공급함으로써 폭발적으로 증가할 미국 전기차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많이 본 뉴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