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스핀 구름의 응축 현상을 통해 새로운 양자 물질을 찾았다는 내용의 논문을 게재해 전세계의 주목을 받은 임 교수의 이야기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는 7일 임현식 동국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작성한 스핀구름 응축 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양자 물질 발견 논문을 표지 논문으로 게재했다. 사진제공=임현식 동국대 교수 |
연구팀은 양자컴퓨터 소자 관련 연구를 하던 중 우연히 실리콘 금속에서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특이한 신호를 발견했다. 이를 소자나 측정기기의 오류가 아닌 새로운 양자역학적 물질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연구를 시작했다. 스핀구름에 관한 연구는 극저온에서 측정해야 하는 제약 등 여러 실험적 어려움과 해석의 한계로 인해 선행 연구가 극히 적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2015년부터 수년간 연구를 지속해왔다. 당시만 해도 극저온 소자 실험과 최첨단 소자 공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실험실이 많지 않았다. 매년 방학기간 동안 일본 RIKEN을 방문해 눈치를 보며 연구를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임 교수는 "연구에 참여한 대학원생들도 최첨단 국제 공동 연구를 경험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좋았다"고 술회했다.
(그림1) a, 금속에 형성된 독립된 스핀 구름 (콘도 구름) 및 b, 스핀 구름들의 응축을 설명하는 이미지. 금속에 형성된 스핀 구름들의 밀도가 적은 경우 스핀 구름들은 기존에 잘 알려진 콘도 효과 (자성 불순물과 ? 주변 전자의 스핀-스핀 산란 때문에 전기 저항이 임계 온도에서 커지는 현상)를 나타내며, 스핀 구름들이 충분히 많아 서로 중첩된 응축 현상을 보이는 경우 쿠퍼-쌍이 없는 초전도체와 유사한 새로운 양자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림제공=동국대 임현식 교수 |
그 결과 실리콘 금속에서 관측된 것은 물질의 상(相) 중 고체, 액체, 기체, 플라스마(Plasma)에 이어 1990년대에 발견된 '보스ㆍ아인슈타인 응축' 상태 특성을 갖는 새로운 물질임을 분광학 및 전기 전도도 측정을 통해 밝혀냈다. 실리콘 금속을 이용하여 극저온(1켈빈(K), 섭씨 영하 272.15도)에서 스핀 구름들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존재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규명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금속 및 반도체에서 스핀-스핀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고온 초전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강상관계 물질을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현식 동국대 물리반도체학과 교수 |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