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4일 경남 창원시 소재 방산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방문해 K9 자주포 앞에서 업체 임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
정부가 방위산업을 첨단전략산업으로 육성해 2027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을 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이날 경남 사천의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2022 방산수출전략회의’를 열었다.
산업부는 탄소복합소재 등 40개 핵심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계·항공,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연 5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약 3300명의 방위산업 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민·군 기술협력을 위해 관련 연구·개발(R&D)에 2027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국방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거나 민간 혁신기술을 국방 분야에 접목하는 방안이 추진될 예정이다.
수출 대상국의 산업 협력 수요를 고려해 방위산업을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자동차 등 타 산업 부문과 연계하는 맞춤형 전략도 강화한다. 산업부는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구체화해 ‘제3차 민·군 기술협력사업 기본계획(2023~2027)’에 담을 예정이다.
국방부도 방산 수출 확대를 위해 인공지능(AI), 극초음속, 합성생물학, 고에너지, 미래통신·사이버, 우주, 무인·자율, 양자물리 등 8대 ‘게임 체인저’ 분야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무기 구매국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합훈련을 통한 운영 노하우 공유, 구매국 군 대상 기술교육 지원, 수출 장비의 군 시범 운용 등도 추진한다. 2027년까지 국방 예산 대비 R&D 비중을 10% 이상으로 확대하고, 2026년까지 유망 중소기업 100곳을 선정해 단계별로 지원도 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7년까지 세계 방산 수출 점유율 5%를 돌파해 세계 4대 방산 수출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0년까지 연평균 30억달러 수준이었던 방산 수출액은 올해 170억달러(약 22조5800억원)로 급증했다. 2017∼2021년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은 2.8%로 8위를 기록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