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K방산, 2027년 세계 점유율 5% 목표…“4대 강국 도약”

댓글0
윤 대통령, 수출전략회의 주재
민·관 협력 기술개발 1조 투입
경향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경남 창원시 소재 방산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방문해 K9 자주포 앞에서 업체 임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정부가 방위산업을 첨단전략산업으로 육성해 2027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을 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이날 경남 사천의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2022 방산수출전략회의’를 열었다.

산업부는 탄소복합소재 등 40개 핵심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계·항공,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연 5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약 3300명의 방위산업 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민·군 기술협력을 위해 관련 연구·개발(R&D)에 2027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국방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거나 민간 혁신기술을 국방 분야에 접목하는 방안이 추진될 예정이다.

수출 대상국의 산업 협력 수요를 고려해 방위산업을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자동차 등 타 산업 부문과 연계하는 맞춤형 전략도 강화한다. 산업부는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구체화해 ‘제3차 민·군 기술협력사업 기본계획(2023~2027)’에 담을 예정이다.

국방부도 방산 수출 확대를 위해 인공지능(AI), 극초음속, 합성생물학, 고에너지, 미래통신·사이버, 우주, 무인·자율, 양자물리 등 8대 ‘게임 체인저’ 분야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무기 구매국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합훈련을 통한 운영 노하우 공유, 구매국 군 대상 기술교육 지원, 수출 장비의 군 시범 운용 등도 추진한다. 2027년까지 국방 예산 대비 R&D 비중을 10% 이상으로 확대하고, 2026년까지 유망 중소기업 100곳을 선정해 단계별로 지원도 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7년까지 세계 방산 수출 점유율 5%를 돌파해 세계 4대 방산 수출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0년까지 연평균 30억달러 수준이었던 방산 수출액은 올해 170억달러(약 22조5800억원)로 급증했다. 2017∼2021년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은 2.8%로 8위를 기록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머니투데이고금리가 10년 이상 계속될 수도 있는 이유[PADO]
  • 뉴시스'식물 방통위' 면했지만…연내 지상파 재허가 승인 어려울 듯
  • 파이낸셜뉴스파월, 금리인상 종식 선언은 '시기상조'...시장은 "내년 3월 인하"
  • SBS세금 깎아 10년 전 출고가 되는 '소주', 식당서도 내릴까
  • 조선비즈리스크 큰 주식보다 안전한 금리형이 낫다... 합성 ETF, 1년 새 몸집 3배 커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