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27.3 °
아시아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신규 임대차 계약시 임대료 5% 이내로 올리면 실거주 1년 인정

아시아투데이 이지훈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이지훈 기자(세종) = 집주인이 새로운 임차인과 계약을 맺으면서 임대료를 이전 계약 대비 5% 이내로 올리면 상생임대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3일 현재 운영 중인 상생임대인 인센티브 제도 대상에 신규 계약이 포함되고 있다고 밝혔다.

상생임대인 인센티브는 임대료를 직전 계약 대비 5% 이내로 인상(유지·인하도 포함)한 임대인에게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 적용을 받기 위한 실거주 2년 기간 중 1년을 인정해주는 제도다. 2020년 임대차 3법 시행 직후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을 행사한 임차인들이 2년째인 올해 대거 인상된 신규 계약을 체결할 것을 우려해 정부가 보완책을 내놓은 것이다. 다만 이 제도는 올해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현행법상에서 1세대 1주택자는 양도일 기준으로 2년 이상을 보유하면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 조정대상지역에서 취득한 주택은 보유뿐 아니라 2년 이상 거주도 해야 한다.

갱신 청구권으로 임차인이 한 주택에서 거주할 수 있는 최소기한이 2년에서 4년으로 연장되면서 임대인이 양도세 비과세 특례 상 실거주 요건을 채우기가 더 어려워지자 임차인을 내보내는 사례가 최근 증가했다. 해당 주택에 실거주하지 않으면서 세대원 일부를 전입신고해 실거주 요건을 채우는 편법도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생임대인이란 개념을 새로 만들고 실거주 요건 1년을 인정하기로 한 것이다. 상생임대인의 기본적인 개념은 기존 임차인과 계약을 갱신하는 경우를 우선 겨냥했다.


갱신 요구권 사용 전에 임대인과 임차인 간 합의에 의해 자율 갱신된 계약, 갱신 요구권을 활용해 갱신된 계약, 갱신 요구권은 이미 사용했지만 묵시적 갱신 등을 통해 재갱신되는 계약에서 임대료가 직전 대비 5% 이내로 인상됐다면 상생임대인으로 인정해준다. 여기서 직전 계약은 기존 임대차 계약이 있고 이 계약이 1년 6개월 이상 유지된 경우로 한정한다.

정부는 여기에 새 임차인과 체결하는 새로운 임대차 계약도 상생임대인의 범위에 포함시켰다. 신규 계약이라도 임대료 인상률을 5% 이내로 제한한다면 전체 임대차 시장에 대한 안정 효과가 발생한다는 판단에 따른것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폭군의 셰프 시청률
    폭군의 셰프 시청률
  2. 2마이 유스 드라마
    마이 유스 드라마
  3. 3고현정 사마귀 시청률
    고현정 사마귀 시청률
  4. 4알카라스 US오픈 결승
    알카라스 US오픈 결승
  5. 5김혜성 대타 교체
    김혜성 대타 교체

아시아투데이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