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31.2 °
파이낸셜뉴스 언론사 이미지

30대 남성 둘에 하나는 미혼… 모든 연령대 결혼 안한 사람 늘었다

파이낸셜뉴스 오은선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
부모에 얹혀사는 성인 캥거루족
314만명 중 65만명이 30~40대



우리나라 성인 314만명이 지난해 부모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받아 생활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창 일할 나이인 30~40대가 65만명에 달했다. 또 30대 미혼인구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새로 썼고, 성인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30~40대 캥거루족 65만명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인구·가구 기본 항목'을 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20세 이상 인구 중 1783만3000명(42.9%)은 스스로 생활비 원천을 마련했다. 배우자의 일이나 직업으로 생활한 사람이 419만9000명(10.1%)이었고, 부모로부터 도움을 받아 생활한 이른바 '캥거루족'이 313만9000명(7.5%), 금융자산으로 생활한 사람이 196만명(4.7%), 국가·지자체 보조로 생활한 사람이 150만9000명(3.6%),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이 62만9000명(1.5%)이었다.

본인의 일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의 54.5%가 남성이었고 여성은 31.9%로 남성보다 낮았다. 여성은 배우자의 일이나 직업 비중(18.0%)이 남성(1.8%)보다 16.2%p 높았다. 또 20대는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사람 비중이 38.9%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30대는 절반 이상(56.5%)이 직접 일해 생활비를 마련했지만 7.0%는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도 2.2%는 부모 도움으로 생활했다. 30~40대 중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사람은 65만명으로 성인 캥거루족(313만9000명) 5명 중 1명(20.7%)인 셈이다. 60세 이상은 자녀 도움(10.7%)이나 공적연금(11.2%), 국가·지자체 보조(11.1%)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 비중이 높았다. 60세 이상 고령자 중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 사람 비중은 57.7%로 직전 조사인 2015년(49.7%)과 비교해 8%p 상승했다.

■30대 남자 절반이 미혼

1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상태는 기혼자가 2457만5000명(55.9%)으로 가장 많았다. 미혼은 1368만8000명(31.1%), 사별 314만8000명(7.2%), 이혼 254만5000명(5.8%) 순이었다. 30세 이상 인구 중 미혼인구 비중은 2015년(13.2%)보다 1.5%p 늘어난 14.7%였다. 2030 청년층은 물론 40·50대 중장년층, 60세 이상 고령층 등 모든 연령대에서 미혼인구 비중이 증가했다.


30대 미혼인구 비중은 지난 1990년 6.8%에서 2000년 13.4%, 2010년 29.2%, 2020년 42.5% 등으로 지속해서 늘면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우리나라 30대 인구 10명 중 4명은 미혼인 셈이다. 특히 30대 남성은 미혼자 비중이 50.8%로 절반을 넘어섰다. 교육 정도별로는 30세 이상 남성의 경우 2·3년제 대학 졸업자의 미혼인구 비중(27.3%)이 가장 높았으나, 여성은 대학원 졸업자의 미혼율(22.1%)이 가장 높았다.

20세 이상 성인이 사회·경제·정치·종교·친목 활동 등 사회활동에 참여한 비율은 29.8%로 집계됐다. 사회활동 참여율은 2010년 33.7%에서 2015년 31.1%, 2020년 29.8%로 지속해서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1인가구의 경우 사회활동 참여율이 26.4%에 그쳐 전체 참여율보다 낮았다. 반면 사회활동 참여율은 교육 수준이 올라갈수록 높아졌는데,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참여율이 46.8%,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자는 35.4%에 달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사회활동 참여율이 31.7%로 여성(27.8%)을 웃돌았다.

■30세 이상 열에 넷은 대졸 이상

아울러 30세 이상 인구 중 대학 이상 졸업자는 1506만명(43.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고등학교 졸업(36.1%), 중학교 졸업(9.1%), 초등학교 졸업(8.2%) 순이었다. 대학 이상 졸업 인구 비중은 지난 2010년 32.4%에서 2020년 43.1%로 10년 새 10.7%p 늘었다. 다만 여성 대졸 이상 인구 비중(44.8%)은 여전히 남성(55.2%)보다 낮았다.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활동에 제약이 있는 인구는 298만9000명, 돌봄이 필요한 인구는 135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돌볼 사람이 아예 없는 경우도 13만2000명(9.8%) 있었다. 돌봄 유형은 남성의 경우 배우자가 돌보는 비중(71.1%)이 높았고, 여성은 자녀나 자녀의 배우자가 돌보는 비중(80.6%)이 높았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다저스 뷔 오타니
    다저스 뷔 오타니
  2. 2도경완 심경 고백
    도경완 심경 고백
  3. 3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4. 4강훈식 비서실장 핫라인
    강훈식 비서실장 핫라인
  5. 5시애틀 롤리 50홈런
    시애틀 롤리 50홈런

파이낸셜뉴스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