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노컷뉴스 유동근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6개월 여간 전국에서 70곳의 주유소가 문을 닫은 것으로 14일 집계됐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전국의 주유소는 1만1384개이다. 이는 지난 3월 1일(1만1454개)보다 70개가 준 결과다. 지난 1~2월 문을 닫은 주유소가 10개인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 이후 영업을 중단한 주유소가 1개월 평균, 두 배 이상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유소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6개월 여간 전국에서 70곳의 주유소가 문을 닫은 것으로 14일 집계됐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전국의 주유소는 1만1384개이다. 이는 지난 3월 1일(1만1454개)보다 70개가 준 결과다. 지난 1~2월 문을 닫은 주유소가 10개인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 이후 영업을 중단한 주유소가 1개월 평균, 두 배 이상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지난 한해 동안 폐업한 주유소 숫자, 80곳에 육박한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1~7월 휘발유·경유 등 주유소 판매량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56% 줄었는데, 올여름 유례 없는 긴 장마로 관광객이 줄면서 관광버스 운행 감소 등 수요가 더 많이 줄었다.
수익 창출이 어려운 주유소 위주로 폐업 대신 휴업을 택한다. 주유소는 큰 기름 탱크를 갖춰야 하므로 주유소를 접을 때는 토양 오염을 정화해야 한다. 여기에 시설 철거비까지 합치면 주유소 한 곳당 폐업 비용이 1억원에서 많게는 2억원 가량 된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이에 업계는 폐업 주유소 철거와 정화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달라고 호소한다. 그러나 정부는 "가게가 문을 닫는다고 정부가 주유업에만 돈을 대줄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