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관광명소 된다더니…포항 북방파제 문화공간 장기 방치

0
댓글0
연합뉴스

쓰레기 쌓인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 친수시설
[촬영 손대성]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포항지방해양수산청이 2천억원의 예산을 투입, 경북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를 해양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며 추가 공사를 해놓고 완공 후에도 방치해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12일 포항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영일만항 북방파제 1단계 공사(3.1㎞)를 한 데 이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2단계 연장 공사(1㎞)를 마쳤다.

2단계 공사 과정에 1천994억원을 들여 높은 파도를 막기 위해 초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케이슨)로 방파제를 만들고 그 위에 전망대, 야외무대, 친수시설, 그늘공간, 응급처치실 등을 설치했다.

파도를 막는 방파제 본래 기능 외에 다양한 해양문화 기능을 갖춰 활용하겠다는 계획에서였다.

준공 당시 이 기관은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돼 포항시가 검토 중인 북방파제, 운하, 호미곶을 경유하는 유람선이 운항하면 포항의 해양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최근 둘러본 북방파제 2단계 공사 구간은 이 같은 설명이 무색해 보였다.

전망대는 겉보기엔 멀쩡했지만 한쪽 난간이 부서져 자칫 추락할 위험이 있었고 복합이벤트공간인 물향마당도 파도에 떠밀려온 스티로폼으로 가득했다.

바닥엔 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이 나뒹굴었고 별신제 조형물은 여기저기 파손돼 있었다.

그런데도 포항해수청이나 포항시는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지 뚜렷한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포항해수청 관계자는 "애초에 개방한다고 결정한 적이 없었다"며 "보강공사를 할 때 포항시와 개방할지를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항시는 유람선 운항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북방파제 건설과 관리는 포항해수청이 담당하기 때문에 시에서는 답변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북방파제는 높은 파도가 자주 오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져 해양문화관광시설로 활용하기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많다.

결국 애초부터 문화관광시설로는 활용하기 어려운 방파제에 거액을 들여 예산을 낭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 시민은 "처음부터 여러 문제점을 고려해 처음부터 해양문화공간을 조성하지 않든가, 만들었으면 잘 활용해야 하는데 막대한 예산만 낭비한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
[촬영 손대성]



연합뉴스

부서진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 구조물
[촬영 손대성]



연합뉴스

떨어진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 조형물
[촬영 손대성]



연합뉴스

떨어져 나간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 전망대 난간
[촬영 손대성]



sds123@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연합뉴스TV[이슈5] 눈물의 김수현 기자회견…"미성년 교제 사실아냐" 外
  • 경향신문김수현 기자회견…김새론과 교제 사실 인정, 미성년 시절 교제는 부인 [현장 화보]
  • 이데일리김수현, 눈물의 40분 기자회견 "故 김새론 살인자 아냐…가짜 증거"(종합)
  • 연합뉴스'마지막 판자촌' 강남 구룡마을, 3800세대 자연친화 주거단지로
  • 노컷뉴스"김봉식, '포고령 따라야 한다' 말했다"…경찰 수뇌부 내란 2차 공판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