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13.6 °
스포츠서울 언론사 이미지

아서 애시스타디움,'천박한 거대함'과는 거리가 먼 US오픈의 성지

스포츠서울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2019US open테니스가 열리는 아서 애쉬 스타디움.  고진현기자

2019US open테니스가 열리는 아서 애쉬 스타디움. 고진현기자



[뉴욕=스포츠서울 고진현기자]테니스에 대한 뉴욕 시민의 열정이 고스란히 묻어났다. 2019 US오픈 테니스대회가 한창인 미국 뉴욕 빌리 진 킹 국립테니스센터의 아서 애시 스타디움의 첫 인상은 그랬다. 가슴 속에 꿈틀대는 테니스를 향한 그들의 꿈과 희망이 그대로 투영됐다고나 할까. 세상에서 가장 큰 테니스 전용 경기장의 위용은 입이 쩍 벌어질 만큼 대단했다. 뉴욕 시민의 자랑인 US오픈의 성장과 아서 애시 스타디움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아서 애시 스타디움은 US오픈 센터 코트로 지난 1997년 8월 25일에 개장했다. 무려 2만3771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세계 최대 테니스 전용 경기장은 US오픈을 상징하고도 남는다.

아서 애시 스타디움위 위용은 ‘천박한 거대함’과는 거리가 멀다. 단순히 기록적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테니스 전용 경기장을 염두에 두고 지은 게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테니스를 향한 뉴욕 시민의 애정과 열정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따뜻한 마음이 살아 숨쉬는 아서 애시스타디움에서 ‘고귀한 거대함’이 느껴지는 이유다.

US오픈은 단순한 스포츠 대회를 넘어 뉴욕을 대표하는 하나의 큰 문화 행사로 발전했고 1996년에는 약 50만명의 관람객이 대회를 찾았다. 주최측은 대회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보다 큰 시설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따라 세계 최대의 테니스 전용구장인 아서 애시 스타디움이 탄생하게 됐다. 아서 애시 스타디움은 지난 2016년 1억5000만달러(약 1821억여원)를 들여 그랜드슬램 중 호주오픈과 윔블던에 이어 3번째로 개폐식 지붕을 설치하기도 했다.

2019US open테니스가 열리는 아서 애쉬 스타디움.  고진현기자

2019US open테니스가 열리는 아서 애쉬 스타디움. 고진현기자



스타디움의 명칭인 아서 애시는 흑인 최초로 그랜드슬램 타이틀을 차지한 미국 스포츠의 영웅. 테니스 역사상 인종차별의 벽을 깨고 흑인 최초로 US오픈과 윔블던, 호주오픈 타이틀을 획득했다. 흑인은 테니스 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던 시대 상황을 극복하며 테니스에 입문한 그는 흑인 최초로 미국대표로 뽑혀 데이비스컵에 출전했고 통산 33차례 단식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애시는 은퇴 후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며 인종차별에 당당히 맞서 사회적으로도 큰 명성을 얻었다.지난 1985년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그는 애석하게도 에이즈 합병증으로 1993년 세상을 떠났다.

아서 애시 스타디움이 있는 국립테니스센터의 이름도 눈여겨볼 만하다. 여자 테니스의 전설 빌리 진 킹(76)의 이름을 땄다. 12개의 그랜드슬램 단식 타이틀과 16개의 그랜드슬램 복식 타이틀, 그리고 11개의 그랜드슬램 혼합 복식 타이틀을 보유한 그는 레즈비언으로 프로 스포츠 역사상 가장 먼저 커밍아웃을 선언했다. 지난 1973년 전 윔블던 우승자인 남자 선수 바비 릭스와 성대결 이벤트 경기에서 승리하는 등 여성 인권운동가로도 이름 높다. 시대를 달리하는 아서 애시와 빌리 진 킹이 US오픈에서 테니스와 인권 운동가로 뉴욕 시민과 함께 호흡하고 있다는 사실은 흥미롭기 그지없는 일이다.
jhkoh@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유재석 놀뭐 멤버
    유재석 놀뭐 멤버
  2. 2트럼프 김정은 회동
    트럼프 김정은 회동
  3. 3태풍상사 이준호
    태풍상사 이준호
  4. 4전북 현대 우승
    전북 현대 우승
  5. 5조용훈 추락사
    조용훈 추락사

스포츠서울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