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맑음 / 12.3 °
매일경제 언론사 이미지

[우지경의 여행 한 잔] 축제의 계절…스페인 세비야에서 레부히토 한잔

매일경제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사진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4월은 축제의 달이다. 4월엔 세계 어딜 가도, 봄 축제 하나쯤은 마주칠 수 있다.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의 주도, 세비야도 예외는 아니다. 세비야에선 매년 부활절 2주 후 월요일 자정부터 일요일 자정까지 '페리아 데 아브릴(Feria de Abril)'이 열린다. 워낙 규모가 크고 화려해 발렌시아의 불 축제, 팜플로나의 산 페르민 소몰이 축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스페인의 3대 축제로 꼽히는 행사다.

페리아 데 아브릴이란 이름이 어렵다면, '4월의 축제'란 뜻만 기억하면 된다. 이름처럼 봄을 만끽하기 위한 이벤트다. 과달키비르 강변의 광장에 가설 천막 카세타(Caseta)를 300여 채 세우고, 사람들은 그 안에서 아침부터 밤까지 술잔을 부딪치거나 춤을 춘다. 세비야는 플라멩코의 본고장 아니던가. 축제가 아닐 때도 '타블라오(Tablao)'라는 공연장부터 플라멩코 박물관까지 도시 곳곳에서 플라멩코를 접할 수 있는데 페리아 데 아브릴 기간엔 축제장에서 그 열정이 폭발한다.

몇 해 전 세비야를 여행할 때다. 그저 오렌지 꽃향기 흩날리는 4월의 세비야를 보러 갔는데, 마침 '페리아 데 아브릴'의 마지막 날이라고 했다.

마음이 급해졌다. 세일 마지막 날 백화점에 도착한 손님의 심정으로 부랴부랴 과달키비르강을 건넜다.

강 너머는 완전 다른 세상이었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화려한 색의 드레스를 입고, 정수리에 큼직한 꽃장식을 단 사람들이 행복한 표정으로 거리를 활보하고 있었다. 덩달아 기분을 내고 싶어졌다. 냉큼 파란 꽃장식을 사서 머리에 꽂고 축제장으로 향하는 행렬을 뒤따랐다.

축제장 안 열기는 봄날의 햇살보다 뜨거웠다. 형형색색의 카세타 안에는 사람들이 가득했다. 어느 카세타를 기웃거리다, 테이블에 앉아 춤을 추던 할머니와 눈이 딱 마주쳤다. 웃으며 손을 흔들더니 술잔을 들고 다가오는 게 아닌가. 잔에는 레부히토(rebujito)가 가득 담겨 있었다. 레부히토란 화이트 와인에 사이다를 섞은 축제 전용 술이다. 맥주에 사이다를 탄 것처럼 달고 청량했다. 잔이 비자마자 채워주는 친절한 할머니 덕에 연거푸 두 잔이나 마셨더니 갈증이 싹 달아났다.


대형 카세타에선 무대 위의 세비야나스(Sevillanas) 춤판이 벌어졌다. 세비야나스는 플라멩코의 특징과 정서가 녹아 있는 세비야 민속춤이다. 그 리듬에 맞춰 손뼉을 치며 구경하는데, 한 아주머니가 나와 일행을 무대 위로 끌어당겼다. 에라 모르겠다. 못 이기는 척 춤을 췄다. 흥이 났다.

또 다른 카세타에선 또 다른 할머니들과 레부히토를 홀짝이며 플라멩코를 감상하기도 했다.

카세타는 가족이나 친구 중심으로 운영해서 초대 없이 들어가기 힘들다고 들었는데, 운이 좋구나 싶었다. 이방인을 뜨겁게 맞이해준 세비야의 여인들 덕에 레부히토 맛을 알게 됐다. 그 후로 매년 4월이면 세비야가 떠오른다. '페리아 데 아브릴'의 카세타에서 마신 레부히토의 달콤하고 시원한 맛이.

[우지경 여행작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고우림 김연아 편스토랑
    고우림 김연아 편스토랑
  2. 2저스트 메이크업
    저스트 메이크업
  3. 3안영준 워니 활약
    안영준 워니 활약
  4. 4이재명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
  5. 5이천수 사기 피소 합의
    이천수 사기 피소 합의

매일경제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