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루투스 스피커 7종 중 가장 음질이 인상적이었던 제품은 뱅앤올룹슨의 베오플레이 A2였다(아렛줄 제일 왼쪽 제품). 그러나 비슷한 크기의 타사 제품보다 50만원대로 가격은 비싼 편이다. 이상훈기자 party@sportsseoul.com |
[스포츠서울 이상훈기자] 블루투스 스피커의 인기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무선의 편리함 때문이다. 초기에는 작은 휴대용 제품이 주를 이뤘지만 요새는 보다 넓은 공간을 울릴 수 있는, 오디오 대체 가능한 대형 블루투스 스피커부터 디자인이 독특한 인테리어 블루투스 스피커까지 다양하게 출시돼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다. 이에 스포츠서울에서는 시중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 7모델을 모아 AV 평론가 최원태의 리뷰를 시리즈로 소개한다. 블루투스 스피커를 구매하고자 한다면 이 7편의 리뷰를 꼭 참조하길 권한다. <편집자 주>
-게재순서-
① LG전자(LG) Sound 360
② 온쿄(Onkyo) X6
③ 소니(Sony) h.ear.go
④ 뱅앤올룹슨(B&O) Beoplay A2
⑤ JBL(JBL) Xtream
⑥ 야마하(Yamaha) LSX-170
⑦ 하만카돈(Harman Kardon) Aura Studio
![]() |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된 뱅앤올룹슨 베오플레이 A2 블루투스 스피커. 리뷰에 사용된 제품은 새로 출시된 오션 블루 컬러 모델이다. 제공 | B&O |
뱅앤올룹슨(Bang&Olufsen)의 제품들이 대개 그러하듯이 베오플레이(BeoPlay) A2 또한 심플하면서 세련된 디자인 감각이 우선 눈에 띈다.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어깨에 맬 수도 있는 롱 스트랩 손잡이를 이중으로 감아 놓았고 한가운데에 놓아도 주변 사람들이 모두 들을 수 있도록 양방사형을 채택했다. 즉, A2의 양쪽 면에 모두 스피커 유닛이 장착돼 있어 앞뒤에서 모두 소리가 나온다.
베오플레이 A2는 3인치의 풀레인지 유닛과 3/4인치의 트위터, 3인치의 패시브 베이스 유닛을 각각 양쪽 채널에 부착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강점은 뛰어난 중고음역의 해상도다. 블루투스 스피커로서는 이례적일 정도로 탁월한 해상력을 보인다. 중역은 단단하고 고역은 음의 분절이 명확하다. 치찰음이 살짝 섞여 있지만 과하지 않아 오히려 살집이 붙은 풍부한 소리를 만들어준다. 여성보컬이나 바이올린 연주를 들어보면 음절 하나하나가 아주 또렷하고 명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음량의 계조표현도 뛰어난 편이다. 저음역은 양은 풍부하지 않지만, 적절한 긴장감과 빠른 응답성을 갖추고 있다. 단, 깊이감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어서 깊은 저음역 재생 부분에서는 다소 힘이 부친다.
전체적으로 저음역과 중고음역 간의 균형이 잘 잡혀 있고 투명도나 파워의 성능 등 음향기기로서의 완성도가 높은 제품이다. 그러나 가장 아쉬운 점은 스테이지의 상실이다. 이는 양방사형이라는 구조로 인한 한계다. 버튼이 있는 모서리를 뒤쪽으로 해서 옆으로 세워 놓으면 좌, 우 채널이 성립된다. 그러나 스피커 유닛이 앞쪽이 아닌 서로 반대방향의 옆쪽을 향해 방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확한 스테이지가 형성될 수가 없다.
또 아웃페이징이 되기 때문에 중앙에 형성되는 이미지가 흐릿해진다. 차라리 스테레오를 포기하고 한쪽 면만으로 듣는 것이 낫다. 즉, 포커싱이 잡힌 또렷한 소리를 얻기 위해서는 모노 사운드를 감수해야 한다. 이는 양방사형이 갖는 구조적인 한계점으로, 대개 이런 형태의 스피커는 모노 타입의 서라운드 채널에서 주로 사용된다.
사실 포터블 스피커들 대부분이 사운드 스테이지에서는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무대감, 공간감 보다는 여러 방향에서 두루 잘 들리는 것을 더 중요시 하기 때문이다. 즉, 뱅앤올룹슨 또한 아웃도어에서의 편의성과 사운드 스테이지라는 요소를 서로 맞바꾼 셈이다. 물론 베오플레이 A2 두 대를 서로 페어링시키면 이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다.
포터블 기기로는 가격대가 꽤 높은 기기이지만 단지 네임밸류나 디자인적 요소 때문에 가격이 높은 것은 아니다. 실제로 베오플레이 A2는 음질적인 완성도 또한 이름값에 못지 않게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이다.
최원태 AV평론가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