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신성중학교 교사들이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을 찾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5.12.2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
(서울=뉴스1) 조영빈 기자,황라현 기자 = 한일 위안부 최종합의에 따른 역풍이 불고 있다. 합의 바로 다음날인 29일은 외교적 합의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피해자 간 괴리가 극명하게 드러난 하루였다.
이날 외교부 임성남 1차관과 조태열 2차관은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정대협)과 나눔의 집을 각각 찾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만났다.
이번 합의안이 피해자들의 요구를 100%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직접 피해자 설득에 나선 것이었다.
외교부 차관들은 할머니들에게 그간 협상과정에서 할머니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지 못한 점을 사과하고, 이번 합의가 현실적으로 최선의 결과물이었다는 점을 설명했다.
피해자 할머니들은 그러나 정부의 이번 합의에 매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같은 반응이 피해자 전체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 국민 여론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최선의 결과'라는 정부 설명이 피해자 할머니들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어려워지고 있는 흐름인 셈이다.
특히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는 합의 상의 표현은 우리 스스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국제사회에서의 여론전 입지를 지나치게 축소했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또 '위안부 소녀상 이전'은 민간 차원의 사안이라며 한일 정부간 협상물이 아니라고 설명해왔던 것과는 달리 합의문에 언급된 것도 여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날 서울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에는 이전을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시위가 끊이지 않았다.
불가역적 표현은 일본 지도자들이 차후 위안부 관련 합의를 부정하거나 폄훼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소녀상 역시 정부가 개입할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지만, 결국 일본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해두지 않은 점에서 이같은 설명은 큰 공감을 얻지는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번 합의를 둔 괴리는 일측의 반응에서도 나타났다.
이날 일본 언론은 한국이 이번 합의에서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 등재 신청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즉각 "사실무근"이라고 부정했지만, 일본은 이번 합의를 외교적으로 활용하려는 속내를 드러낸 셈이다.
양기호 성공회대 교수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은 지나치게 양보한 느낌을 들게 한다"며 "소녀상은 감정적 문제인데 그걸 건드려서는 안되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양 교수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설득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직접 할머니들을 초청하는 등의 추가적인 설득 작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bin1981@
[© 뉴스1코리아( 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