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출생 순서가 성격을 결정한다? "착각일뿐"

0
댓글0
[미국 국립과학원, 출생 순서와 성격의 연관성 발견 못해]

머니투데이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이 없음/사진=이미지투데이


같은 부모 밑에 같은 환경에서 자라도 형제의 성격은 천차만별이다. 대부분 첫째는 책임감이 강하고 권위적인 성격이라고 하며 둘째, 셋째는 자유분방하고 예민하다고 한다. 이는 사실 태어난 순서가 성격을 결정한다는 전제하에 나온 이야기들이다.

인간 심리 저술서 '타고난 반항아(Born to Rebel)'의 저자 프랭크 설로웨이(Frank Sulloway)는 출생 순서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그는 책에서 선천적으로 첫째가 보수적이며 둘째는 자유분방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저술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학술적 근거가 없는 믿음에 불과하다. 여러 학자들이 출생 순서와 성격의 연관 관계를 증명하려 수십 년간 연구했으나 결국 실패했기 때문이다.

미국 국립과학원(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은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사회성 △신경과민성 등 다섯 가지 특성을 토대로 미국·영국·독일 3개국에서 대규모 조사를 펼쳤다. 20일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별·나이·가족 수 등을 고려해도 첫째와 그 후 태어난 형제들의 다섯 가지 특성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미국 고등학생 총 38만 명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조사에서도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

다양한 실험과 긴 조사 끝에 내린 결론은 출생 순서와 성격은 연관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출생 순서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걸까?

심리학자들은 이 같은 현상을 '착각적 상관(illusory correlation)'이라 정의했다. 착각적 상관은 '독특하고 흔치 않은 정보가 주어졌을 때 두 집단 간의 관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란 뜻이다. 실제론 아무 연관이 없음에도 연관성이 있다고 강하게 믿는 현상을 일컫는다.

출생 순서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착각적 상관은 '나이'에서 나타난다. 나이가 더 많다는 이유로 첫째가 둘째, 셋째보다 더 성숙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보통 이 믿음은 첫째에 대한 '기대감'에서 비롯된다.

"첫째가 더 성실하다"라는 말도 착각적 상관 중 하나다. 성실함은 성장하면서 후천적으로 발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생들보다 먼저 성실함을 배운 첫째가 앞서 발달하는 것이다.

허정민 인턴기자 gwa110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헤럴드경제“어젯밤부터 기다렸어요” 이정재가 카이스트에 떴다…물만 마셔도 들썩들썩
  • 디지털투데이도쿄 디즈니랜드에 엔비디아 2족 로봇 등장…6월까지 활보
  • 뉴시스지겨운 스팸 알아서 걸러주는 삼성 갤럭시…아이폰은 왜 안돼?
  • 머니투데이구글 클라우드, '제미나이 2.5 플래시' 공개…기업용 제품군 강화
  • 중앙일보AI 총동원해 오즈의마법사 생성…구글이 보여준 동영상 AI의 미래 [팩플]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