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비활동기간, 프로 의무와 쉴 권리 사이

0
댓글0
OSEN 프로야구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포토슬라이드 이동

[OSEN=고유라 기자] 프로야구선수협회(선수협)로부터 촉발된 비활동기간 훈련 문제가 뜨겁다.

선수협은 2일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2014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정기총회'를 가졌다. 선수협은 이날 선수들이 직접 뽑는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를 진행한 뒤 총회를 열어 비활동기간, FA 규정에 대한 논의 시간을 가졌다.

한국야구위원회(KBO)에 소속된 선수는 12월 1일부터 1월 15일까지 단체 훈련이 금지돼 있다. 비활동기간은 시즌 내내 훈련에 매달리는 선수들에게 휴식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정해졌으나 대부분의 팀들과 선수들은 12월에도 쉬지 않고 단체 훈련을 해왔다. 이에 선수협이 이번 총회에서 더욱 강력한 칼을 뽑아든 것.

총회가 끝난 뒤 서재응 선수협 회장은 "선수들은 1월 15일 시즌을 시작하면 10월, 일부는 더 길게 몸을 혹사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선수들이 잘 쉬어야 다음 시즌을 잘 준비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재활 선수도 예외가 아니다. 이제는 이를 어길 경우 구단에 별도의 벌금이 나갈 것이고 언론을 통해 구단의 이름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비활동기간의 취지는 매우 좋다. 선수들은 시즌 중 주5일제나 법정근로시간 등과는 전혀 먼 삶을 산다. 최근 2년 휴식일이 있기는 했지만 내년부터 다시 월요일 외에는 쉴 수 없고 공휴일에도 경기 일정에 맞춰서 움직여야 한다. 그외에도 야구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다. 선수들은 시즌이 끝나면 몸과 마음이 지쳐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선수들이 그런 점을 감안해 일반 직장인들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금액의 연봉을 받고 있고, 몸을 쓰는 직업을 가진 이상 한 달이라도 쉴 경우 운동의 맥이 끊길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해 개인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등을 따로 받을 수 있는 경제적인 요건을 갖춘 선수가 얼마 되지 않는 점이 아직 실행의 한계로 꼽히고 있다.

구단들은 오히려 선수들이 원해서 비활동기간에도 훈련 스케줄을 꾸렸다는 생각이다. 한 야구계 관계자는 "따지고 보면 선수들이 비활동기간에 갈 곳이 없고 운동을 할 만한 기반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구단이 그 일을 대신 해왔을 뿐 구단에 페널티를 주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전했다. 구단들이 선수들을 팀의 자산이라고 생각해 훈련을 시키는 것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일리있는 지적이다.

팬들을 위해 존재하는 프로야구 선수들은 언제든 좋은 컨디션에서 좋은 성적을 내야 할 의무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누군가의 가족이고 소모품인 몸을 이용해 돈을 벌어야 하는 선수들에게도 휴식이 보장돼야 한다. 두 가지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 중 나온 비활동기간이라는 방책이 어떻게 하면 모두의 생각에 부합할 수 있을지를 더 논의해봐야 할 시점이다.

autumnbb@osen.co.kr

<사진> =백승철 기자 baik@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OSEN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관련기사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MHN스포츠'김혜성 어떡해'…다저스, 토론토에서 올스타 유격수 영입 계획…美 언론 예상
  • 엑스포츠뉴스[오피셜] 김민재 분데스리가 우승 성큼!…2위 레버쿠젠 0-0 무승부→뮌헨-도르트문트 '데어 클라시커' 출격
  • 뉴시스박하나, 예비남편 김태술 경질에도 "가장 존경"
  • 인터풋볼'민재야 굿바이' 뮌헨 25년+744경기 레전드, 무리뉴가 부른다..."토마스 뮐러와 1+1년 계약 노려"
  • 스포츠조선"정말 멋지다" 이정후가 예뻐 죽겠네, SF 감독 확신의 코멘트..."작년엔 운이 나빴을 뿐"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