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 스텔스 전략폭격기와 F-35 전투기 4대가 비행하는 모습. /AFP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위해 만난 순간, 하늘에 미군 폭격기와 전투기가 나란히 비행하고 지상에 전투기 여러 대가 도열한 것을 두고 미국이 군사력의 정수를 드러내며 심리적 압박을 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두 정상은 15일(현지 시각) 오전 11시쯤 알래스카 앵커리지 미 공군 엘멘도프–리처드슨 기지에서 만났다. 동시에 각자의 전용기에서 내려 붉은 카펫을 걸었고 악수와 환담을 나눴다. 이때 양옆에는 F-22 전투기 4대가 지상에 늘어서 있었으며, 연단 도착 직전 상공에선 B-2 스텔스 전략폭격기와 F-35 전투기 4대가 굉음을 내며 날았다.
트럼프와 푸틴은 잠시 걸음을 멈추고 하늘을 올려다봤다. 트럼프는 가볍게 손뼉을 친 뒤 푸틴과 대화했다. 이어 밝은 표정으로 ‘ALASKA 2025’라고 적힌 연단 위에 함께 올랐다.
트럼프와 푸틴이 함께 걷는 동안 비행하는 B-2 스텔스 전략폭격기와 F-35 전투기 4대. /X(옛 트위터) |
B-2 스텔스 전략폭격기는 미 공군의 최첨단 전략 자산으로 ‘미국의 자존심’이라 불린다. 지난 6월 미국이 이란 핵 시설을 기습 폭격할 때 투입됐다. 핵무기를 투하할 수 있고 초대형 폭탄 ‘벙커버스터’(GBU-57)를 탑재할 수 있어 미 공군력의 핵심 중 핵심이다. F-22도 세계 최강의 전투기로 평가받는다. 미 공군이 자랑하는 비밀병기로 수출이 법으로 금지돼 있을 정도다.
미국이 푸틴의 도착에 맞춰 이 같은 환영식을 선보이자, 미국이 세계 최강 군사력을 과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종식을 위한 협상이 이번 회담 목표인 만큼, 어느 정도의 심리적 압박을 가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는 집권 2기 취임 후 군사력 증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부각하며 ‘힘을 통한 평화’가 세계 평화를 위한 유일한 방법임을 강조해온 바 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 장면을 두고 “트럼프는 그의 대통령직의 ‘사실상의 연출자’(a de facto producer)”라며 “비행 편대, 푸틴과의 악수, 레드카펫을 함께 걷는 장면은 철저히 준비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단 몇 초 만에 미국 국력의 가장 눈에 띄고 시끄러운 상징물을 과시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