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서울중앙성원. /조선DB |
13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 다이아몬드홀. 올해로 전래 70주년을 맞은 한국이슬람교 주최로 ‘2025 국제할랄세미나’와 기념 만찬 행사가 열렸다. 사우디아라비아·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튀르키예 등에서 온 이슬람교 및 할랄 인증 단체 고위 관계자들이 테이블을 채웠다. 농심·삼양·CJ제일제당 등 국내 대형 식품 업계 ‘큰손’들도 대거 참석했다.
한국이슬람교는 6·25 전쟁에 참전했던 튀르키예군을 통해 국내에 전파됐다. 9세기 신라시대에 당시 무슬림 상인들과 교류한 기록이 남아 있지만, 튀르키예군의 6·25 파병을 공식적인 전래로 본다. 이들은 전시 상황에서 야전 막사를 차리고 예배 활동을 이어갔다. 휴전 협정 체결 이후에도 이들은 한국에 남아 1955년 국내 최초의 무슬림 기구를 창설했다. 현재 한국이슬람교는 전국에 24개 모스크(성원)와 260여 개의 예배소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무슬림 인구는 약 25만명으로 추산된다.
국내 무슬림 인구 증가와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K-할랄 식품 시장은 규모를 키우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할랄 식품 수출액은 약 2조원에 달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등 이슬람권 수출 비중이 크다. 식품 업계도 할랄 인증 제품 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2030년까지 국내 할랄 관련 시장 규모가 6조원까지 성장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조민행 한국이슬람교 할랄 위원장은 “이슬람 국가 주요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K할랄 식품의 위상을 높이고, 국내 할랄 인증 업무를 국제 기준에 맞춰 고도화·체계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한편 이날 만찬에선 할랄 방식으로 도축된 호주산 소고기 스테이크 150인분이 준비됐다. 현재 국내에서 할랄 인증을 받은 소고기 도축장은 강원 홍천·횡성 단 두 곳이다. 한우를 비롯한 육류는 검역과 할랄 인증의 벽이 높아 말레이시아·UAE 두 나라에만 수출되고 있다. 할랄 육류 인증을 받기 위해선 무슬림 전문가가 도축 직전 ‘비스밀라(알라의 이름으로)’ ‘알라후 아크바르(신은 위대하다)’라는 신앙 선언을 해야 한다. 이후 동물의 눈을 가린 뒤 이슬람 성지인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방향으로 머리를 누여 즉사시킨 뒤 피를 빼내는 방식이다. 현재 국내에선 말레이시아 출신 무슬림 도축사가 전 과정을 집도한다.
![]() |
13일 오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한국이슬람교 70주년 기념행사에서 참석자들이 만찬을 즐기고 있다. /한국이슬람교 제공 |
김동억 한국이슬람교 재단 이사장은 “서울 이문동 튀르키예군 야전 막사에서 출발한 한국이슬람이 70주년을 맞이했다”며 “이슬람은 진실로 평화를 추구하는 종교다. 서로 이해하고 협력하는 미래를 위해 한국이슬람교가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서보범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