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 18.4 °
메트로신문사 언론사 이미지

"'AI 에이전트' 글로벌 플랫폼 판도 바꾼다"…오픈AI 등 유니콘 기업 영향력 확대

메트로신문사 최건우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심지현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 하반기 플랫폼 전망 발표
1년 새 AI 에이전트 20여 종 출시, 유니콘 기업 영향력 확대…대기업 인수 사례↑
Capa 부족이 투자 촉진…데이터·보안·워크플로우도 주목

하반기 글로벌 플랫폼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AI 에이전트'가 글로벌 플랫폼 산업의 경쟁 구도를 빠르게 바꾸고 있다. AI 에이전트 확산이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 간 영역을 허물고 있어 상장사 중심의 시장 분석만으로는 산업 변화를 읽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여의도에 있는 한국거래소에서 '글로벌 플랫폼 하반기 전망'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발표를 맡은 심지현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AI 에이전트로 인해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기존에는 진출하지 않았던 분야로 손쉽게 확장하고 있어 경쟁 구도가 재편되고 있다"고 말했다. AI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 뒤 스스로 판단하고 작업하는 자율형 인공지능으로, 예전에는 고객관리, 데이터, 보안 등 각 분야의 선두 기업이 있었지만 AI 에이전트의 확산으로 경계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SAP 등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은 지난 1년간 약 20개의 AI 에이전트를 출시했다. 상당수는 AI 스타트기업이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반면 자체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시장에 진출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특히 신제품 상당이 AI 스타트업에서 개발된 만큼 오픈AI 등 유니콘 기업이 기존 상장사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심 연구원은 "최근 투자금이 넘치는 환경에서 기업공개(IPO)를 거치지 않고 단순 투자를 받아 성장한 뒤 대기업에 인수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시장 분석 시 상장사뿐 아니라 IPO를 거치지 않은 유니콘 기업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플랫폼 산업 전반에 대한 진단과 함께 하반기 전망도 제시됐다. 심 연구원은 "상반기 기술주 약세론의 주요 근거였던 설비투자(CapEx) 삭감 우려가 오히려 투자 확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짚었다. AI가 훈련에서 추론단계로 확산되면서 연산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생산능력(Capa) 부족으로 계약은 체결됐지만 아직 매출로 잡히지 않은 미반영 수익이 쌓이고 있어 추가 데이터센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의 투자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심 연구원은 이어 "Capa 부족 문제를 얼마나 빠르게 해소하는가에 따라 개별 기업의 주가 향방이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앞으로 시장을 견인할 주요 분야로 클라우드, 데이터, 사이버보안, 워크플로우를 꼽았다.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김재중 족발 레시피
    김재중 족발 레시피
  2. 2손흥민 해트트릭
    손흥민 해트트릭
  3. 3트럼프 시진핑 통화
    트럼프 시진핑 통화
  4. 4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5. 5안세영 중국 마스터스
    안세영 중국 마스터스

메트로신문사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