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담화 직후 "李 대통령 건의" 언급
UFS 야외기동훈련, 절반 연기한 채 진행
![]()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밝힌 한미연합군사훈련 '조정'이 실제로 단행됐다.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7일 "한반도 긴장 완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취임 첫날인 지난달 25일 판문점을 방문한 정 장관. /통일부 |
[더팩트ㅣ김정수 기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밝힌 한미연합군사훈련 '조정'이 실제로 단행됐다. 정 장관의 건의는 한미훈련 보름을 앞두고 제기된 만큼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짙었지만 예상과 달리 관철된 셈이다.
7일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한미연합군사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의 일부인 야외기동훈련(FTX) 연기를 조정이라고 평가했다. 고위 당국자는 이같이 말하며 "한반도 긴장 완화에 기여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또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은 이재명 정부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당국자가 조정이라고 평가한 대목은 정 장관의 의지가 그대로 발현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달 28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대남 담화 직후 한미훈련 조정을 이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 부부장 담화를 통해 한국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를 재확인하면서 한미훈련을 비난했는데, 정 장관이 해당 훈련 조정을 언급한 것이었다. 당시는 한미훈련이 보름을 앞두고 있었던 데다, 한미 양국 간 안보 협의를 포괄한 통상 협의를 진행 중이었던 만큼 정 장관의 발언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통령실은 "통일부 장관뿐 아니라 국방부 장관 등 관련 부처 의견을 들어 결정할 것"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국방부도 "연합연습은 한미가 합의한 절차에 따라 상호 협의 하에 진행된 사안"이라며 "변경된 것은 없다"고 일축했다.
![]() |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UFS 한미 공동브리핑에서 폭염 등에 따라 기존 계획된 40여 건의 FTX 중 20여 건을 9월로 조정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과 라이언 도널드 유엔사·연합사·주한미군사 공보실장이 관련 공동브리핑을 하는 모습. /뉴시스 |
하지만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UFS 한미 공동브리핑에서 폭염 등에 따라 기존 계획된 40여 건의 FTX 중 20여 건을 9월로 조정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훈련의 핵심축인 지휘소연습(CPX)은 계획대로 시행되지만 정 장관의 말대로 훈련 자체는 조정된 셈이다.
결국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치러지는 대규모 한미연습은 FTX의 약 절반을 연기한 채 치러질 전망이다. 전체적인 훈련 규모나 내용은 예년과 큰 차이가 없지만 변화라면 변화다.
일각에서는 한미 훈련 조정에 대해 향후 북미 대화를 염두에 둔 조치로 평가한다. 북한이 설정한 적대적 두 국가 사이를 파고들 만한 운신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라는 해석이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 1일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를 접견하고 북미 회담을 지지하지만 우리 정부도 당사자로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 출범과 정 장관 취임 이후 확대 전개되고 있는 대북 유화책도 그 연장선에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부터 △대북 전단 살포 자제 요청△대북 확성기 방송 전면 중지 △북한 주민 6명 해상 송환 △국가정보원 라디오·TV 방송 송출 중단 △민간 대북 접촉 제한 내부 지침 폐기 △대북 확성기 철거 등을 시행했다.
정부는 조정된 UFS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호응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오는 9월에는 북한이 '새로운 핵전쟁을 불러올 것'이라고 비난했던 한국·미국·일본의 다영역 훈련인 '프리덤 에지'가 계획돼 있다.
js881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