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흐림 / 19.1 °
조선비즈 언론사 이미지

MBK “홈플러스 경영 악화, 업계 불황 때문… 인위적 구조조정 없었다”

조선비즈 정민하 기자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최근 국회에서 열린 홈플러스 기업회생 관련 토론회에서 나온 일부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해명했다.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직원들이 출입구를 드나들고 있다. /뉴스1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직원들이 출입구를 드나들고 있다. /뉴스1



MBK는 7일 설명자료를 내고 “홈플러스의 경영 악화가 과도한 차입금과 자산 매각 때문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MBK는 법원이 지정한 독립 조사기관인 삼일회계법인의 보고서를 인용해 홈플러스 경영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최저임금 상승과 임대료 증가로 인한 고정비 부담 ▲온라인 유통 확대에 따른 소비자 구매 행태 변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유동성 우려 등을 꼽았다. 이어 이는 홈플러스만의 문제가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업계 전체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라고 설명했다.

또한 MBK는 고용 부문과 전단채(ABSTB) 관련 주장에 대해서는 과장됐다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홈플러스는 경쟁사 대비 인력 감축 규모가 가장 적고, 폐점 과정에서도 직원 고용을 모두 보장했다”며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단채는 홈플러스가 직접 발행한 투자상품이 아니라 신영증권의 특수목적법인(SPC)이 카드사로부터 인수한 채권을 기반으로 한 금융투자상품”이라고 덧붙였다.

배당 문제에 대해서도 “2015년 인수 이후 노동조합의 요구를 존중해 단 한 번도 배당을 받지 않았다”는 게 MBK 측의 설명이다.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관련해서는 2조5000억원 규모의 보통주 무상 소각 결정과 함께 김병주 회장 사재 1000억원을 포함한 총 3000억원 규모의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MBK는 현재 진행 중인 홈플러스의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에 대해서도 법원의 관리 감독하에 투명하게 진행 중이며, 고용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분할 매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MBK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제안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상생 방안을 논의하는 ‘상생 협의체’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국회에서 ‘MBK의 진심, 홈플러스 회생일까? 먹튀일까?’를 주제로 제2차 연속토론회를 열고, 피해자 보호·사모펀드 규제 입법과 함께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민병덕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라, 사모펀드의 단기 수익 추구가 노동자·서민 생계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 사회적 문제”라며 “MBK는 인수 후 10년 동안 점포를 작년 11월 기준 141개에서 126개로 줄이고, 부채비율을 1408%로 끌어올리며 남긴 것은 부채와 불안뿐”이라고 했다.

정민하 기자(mi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문소리 각집부부
    문소리 각집부부
  2. 2손흥민 해트트릭
    손흥민 해트트릭
  3. 3삼성 디아즈 3타점
    삼성 디아즈 3타점
  4. 4홍성호 끝내기 안타
    홍성호 끝내기 안타
  5. 5김종국 정자왕
    김종국 정자왕

조선비즈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