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뉴스
서울
구름많음 / 28.0 °
테크M 언론사 이미지

[국가대표 AI 정예팀 선발] 정부, 韓 AI 모델 프로젝트 속도..."저작권 협의 진행 중, GPU는 애저로"

테크M
원문보기
댓글 이동 버튼0
[임경호 기자]


정부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데이터 저작권 협의를 진행 중이다. 기반 인프라에 무관하게 GPU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급에는 애저 서비스 방식을 활용한다. 공모에서 탈락한 기업들의 지원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이르면 연말쯤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공개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브리핑을 진행했다.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이 선정된 5개 정예팀을 발표하고,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선정된 기업은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이다. 이들이 구성한 컨소시엄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이르면 8월 초 정부와 협약을 맺고 고성능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착수한다. 'K-AI 모델' 또는 'K-AI 기업'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다.

과기정통부, 탈락한 기업 지원 방안 검토

이날 정부는 5개 기업 선정 기준에 대해 부연했다. 기업의 규모나 형태 등이 선정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답변이다. 장기철 인터넷진흥과장은 "별도의 배분이나 할당은 없다"며 국내 기업들의 체력을 좀 키워줄 수 있고 글로벌 시장에서 파급력 있는 그런 팀을 선정하는 게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번 심사에서 탈락한 기업들에 대한 추가 지원 방안도 검토한다. 장 과장은 "6~10위와 나머지 5개 팀까지 추가적으로 다른 사업을 기획해서라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며 "꼭 파운데이션 모델이 아니라도 특화 모델이나 다른 방식으로도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당초 프로젝트에는 루닛 모티프테크놀로지스 바이오넥서스 사이오닉에이아이 정션메드 카카오 KT 코난테크놀로지 파이온코퍼레이션 한국과학기술원도 신청서를 접수했다.

평가 기준 단계별 변동...데이터 저작권 협의 진행 중

6개월 주기로 실시하는 단계 평가에 대해서도 덧붙였다. 이를 통해 반기별로 1개팀씩 제외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연말에 실시할 평가에서는 현재 기준에 글로벌 벤치마크, 정부의 자체적인 데이터셋 벤치마크 성능 테스트가 더해질 예정이다. 대국민 평가 등 종합적인 평가 기준이 마련된다.


또 급변하는 AI 기술 환경을 고려해 단계 평가 시마다 목표를 달리 하는 '무빙 타겟' 정책을 펼친다. 정예팀들의 도전적 목표를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평가 기준도 바뀔 수 있다는 게 정부 측 입장이다. 벤치마크 기준 선정 시 정예팀의 의견도 수렴한다.


데이터 지원 방안에 대한 세부 설명도 진행됐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정부는 데이터와 인재, GPU 3개 부문을 지원한다. 이소라 데이터진흥과장은 "이번 사업에서 정부는 데이터 공동구매와 팀별 데이터셋 구축을 지원한다"며 "데이터 공동구매는 정예팀 수요에 맞춰 진행하고, 팀별 데이터셋 구축은 개별 지원 예정"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활용에 따른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는 김 국장이 "실제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업체를 선정하면서 가장 저희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게 저작권 문제였다"며 "저작권을 가진 공공기관 우선으로 저작권 협의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GPU, 애저 서비스 공급...연말쯤 서비스 체험 예정

기업 체급에 따른 사업 추진의 형평성 문제도 언급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GPU 사용 환경에 따른 경쟁 양상 변화에 대해 김경만 인공지능국장은 "(GPU 공급 관련) 스타트업 같은 경우 상대적으로 열악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이번에 선정된 스타트업 같은 경우에는 자기 보유 GPU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에게 상당량의 GPU를 확보해서 같이 개발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정부e브리핑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정부e브리핑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 GPU 공급을 블록으로 B200 기준 500장, H 시리즈 기준 1000장씩 할 계획이다. GPU는 CSP들이 구축한 것을 애저 서비스로 공급하는 방식을 쓴다. 이와 함께 기업들이 보유한 GPU를 이번 프로젝트에서 같이 쓸 수 있게 유도할 방침이다.

최근 두 차례 유찰되며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사업에 대해서는 김 국장은 "민간의 자율성을 한층 더 높이는 수준으로 공고 조건을 마련 중"이라고 답했다. 국민들이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는 시기에 대해서는 장 과장이 "연말 단계 평가 때 선정된 5개 팀에서 대국민이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 5개 팀 선정 결과에 대해 이날부터 10일간 이의신청을 받는다. 평가 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발견될 경우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저작권자 Copyright ⓒ 테크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fo icon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AI 이슈 트렌드

실시간
  1. 1김문수 장동혁 당대표
    김문수 장동혁 당대표
  2. 280s 서울가요제 윤도현
    80s 서울가요제 윤도현
  3. 3토트넘 맨시티 완파
    토트넘 맨시티 완파
  4. 4이동경 극장골
    이동경 극장골
  5. 5이재명 한일 협력
    이재명 한일 협력

테크M 하이라이트

파워링크

광고
링크등록

당신만의 뉴스 Pick

쇼핑 핫아이템

AD